국고채 급등·증시 최고치·가계·기업대출 규모 늘어…은행 수신은 22조원 감소

[로고=한국은행]
[로고=한국은행]

국내 국고채금리가 지난 10월 하순 이후 금융안정에 대한 경계감, 경기개선 기대 등으로 큰 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0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이달 12일 기준 국고채(3년) 금리는 2.92%로, 9월 2.58% 보다 0.34%포인트(p) 올랐다. 같은 기간 국고채(10년) 금리도 9월 2.95%에서 0.33%p오른 3.28%를 기록했다. 

단기시장금리는 금리인하 기대 변화, 발행물량 확대 등의 영향으로 은행채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민간채권평가사 4사 기준 은행채(3개월) 금리는 9월 2.53%에서 11월 12일 2.69%로 증가했다.

코스피는 반도체 업황 호조, 국내 주요 기업 실적 개선, 한·미 관세협상 타결 등으로 큰 폭 뛰었다. 9월 기준 코스피 지수는 3425였지만, 같은 기간 동안 4150로 올랐다. 특히 이달 3일에는 4221.9를 기록, 4,200선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다만 한은은 글로벌 AI(인공지능) 고평가를 우려해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등으로 변동성이 다소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는 전달에 비해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는 둔화됐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늘면서 전체 증가폭을 끌어올렸다. 

10월 말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173조7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5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은 2조1000억원 증가한 934조8000억원이다. 전세자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7~8월 주택거래 둔화의 영향이 반영되면서 증가폭이 축소됐다는 분석이다.

기타대출 잔액은 1조4000억원 늘어 238조원을 기록했다. 한은은 국내외 주식투자 확대와 '10.15 대책'을 앞둔 주택거래 선수요, 장기 추석연휴 등에 따른 자금수요가 맞물리면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 전환한 것으로 풀이했다.

10.15 대책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강화하며, 실거주 의무를 부과하는 등 갭투자를 차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규제 강화에 따라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은 70%에서 40%로 낮아졌다.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366조원이었다. 이는 전월에 비해 5조9000억원 불어난 규모다. 또 대기업대출은 2000억원 증가한 294조5000억원을 달성했다. 전분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에도 운전자금 수요 감소, 대체조달 수단 활용 등으로 증가규모가 상당폭 축소됐다는 설명이다.

중소기업대출은 5조7000억원 늘어 107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은행 대출영업 지속과 지난달 31일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증가규모가 커진 것이다.

은행 수신은 22조9000억원 쪼그라들었다. 수시입출식예금(-39조3000억원)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시 예치됐던 법인자금 유출,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큰 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예금(+13조6000억원)은 가계자금이 일부 유출됐으나 일부 은행의 규제비율 관리를 위한 예금 유치, 지자체 재정자금 일시 예치 등으로 상당폭 증가 전환했다.

회사채는(+7000억원)도 견조한 투자수요 등으로 순발행이 지속됐다. 다만, 장기 연휴에 따른 전월 선조달의 영향으로 규모가 축소됐다. CP(기업어음)·단기사채(+7000억원)는 분기말 일시상환분 재발행 등 으로 순발행 전환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