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용카드학회, 'KOCAS 컨퍼런스 2025' 개최
“조달 다변화·디지털 규제 정비·데이터 활용 고도화가 생존 전략”
![21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KOCAS 컨퍼런스 2025'에서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김주승 기자]](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511/238830_278525_1631.jpg)
국내 카드산업이 조달비용 상승과 결제시장 경쟁 심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논의, 영세가맹점 데이터 활용 확대 등 구조적 변화에 직면하면서 조달·디지털·정책·데이터 전반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신용카드학회는 21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주제로 ‘KOCAS 컨퍼런스 2025’를 열고 카드산업의 중장기 전략을 논의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날 발표에서 “금리와 신용환경 악화로 카드사 조달비용이 뚜렷하게 상승했다”며 “가맹점 수수료 체계 변화 등으로 본업 수익성이 낮아진 상황에서 조달비용까지 치솟아 구조적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가 '자금조달 혁신을 통한 자산운용 효율화'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주승 기자]](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511/238830_278527_1730.jpg)
서 교수는 “신용 스프레드 확대 국면에서는 카드채·ABS 조달비용이 다시 튈 수 있다”며 “ABS 발행 확대, ESG·해외 조달을 포함한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ESG 조달은 투자자 저변을 넓히고 장기 자금 확보에 효과적”이라며 “회사채·ABS 발행 규제 완화와 유동화시장 인프라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또 “조달 여력이 확보돼야만 카드사의 자산운용 전략과 위험관리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며 “조달 구조가 단기금융시장에 과도하게 편중된 구조에서 벗어나야 생산적 금융 역할을 넓힐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충당금 부담이 커지는 환경에서는 카드론 중심의 성장 전략도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며 “조달비용을 낮추고 자금 흐름을 장기화하는 관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업구조 변화도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윤종문 여신금융연구소 팀장은 “디지털화는 단순한 온라인 이전이 아니라 금융구조 자체를 재편하는 과정”이라며 “비대면·간편결제 확산으로 소비자 기준이 완전히 달라졌다”고 설명했다.
![윤종문 여신금융연구소 팀장이 '디지털화를 통한 금융소비자 편의 및 비용 효율화'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주승 기자]](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511/238830_278528_193.jpg)
윤 팀장은 카드사가 결제 수단을 넘어 플랫폼·데이터 기반 서비스 사업자로 이동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생활 서비스와 결제가 결합하는 ‘슈퍼앱’ 흐름이 경쟁 구도를 바꿀 것”이라며 “AI가 소비자의 선택과 결제까지 수행하는 ‘에이전트 결제’ 환경에서는 신뢰·보안·책임 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한 사업자가 우위를 점하게 된다”고 전망했다.
스테이블코인 논의도 이어졌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스테이블코인이 중개 단계를 축소해 결제 수수료를 낮추고 정산을 즉시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미국과 일본에서는 카드사가 이미 스테이블코인 네트워크와 연계를 추진하고 있다”며 “국내도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카드망에 탑재하는 전략을 카드사가 주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가 '스테이블 코인 사업을 통한 결제시장 경쟁력 제고'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주승 기자]](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511/238830_278529_201.jpg)
다만 제도와 규제는 여전히 디지털 환경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현행 여신전문금융업법은 신용카드 정의를 ‘증표’ 중심으로 규정하고 있어 모바일 기반 결제 구조 변화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영세가맹점 정책 방향도 논의됐다. 조일형 상명대 교수는 최근 5년간 추진된 영세가맹점 단말기 보급 사업이 결제 편의성 제고와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미 대부분의 영세가맹점이 단말기를 보유한 상황에서는 추가 보급의 효용이 제한적이었다”고 지적했다.
![조일형 상명대 교수가 '소상공인 지원과 민간소비 진작을 위한 맞춤형 금융서비스 강화'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주승 기자]](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511/238830_278532_2117.jpg)
조 교수는 향후 지원 정책은 단순 단말기 보급보다 ERP·경영 분석·결제 데이터 기반 진단 서비스 등 경영 지원 기능으로 확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결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경영 의사결정을 돕는 서비스가 제공됐다면 효과가 더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