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후폭풍이 거세다. 뉴욕 증시가 하루 사이 시가총액이 3조달러 이상 날라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급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3.98%) 떨어진 4만545.9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전장보다 274.45포인트(-4.84%) 급락한 5396.5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5.97%) 떨어진 1만6550.61에 각각 마감했다.
코로나19 팬데믹 확산 초기였던 2020년 이후 5년 만에 최악의 하루였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의 무역 적자 폭이 큰 교역 상대국에 추가 세율을 부과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예상보다 강경한 고율 관세가 상대국의 보복 관세를 불러오고 결국 미국 경제에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를 몰고 올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다우존스 마켓데이터를 인용해 이날 하루 약 3조1000억달러(약 4500조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고 전했다. 대형 기술주도 충격을 피해가지 못했다. 특히 미국 외 공급망 의존이 큰 중 기업이 크게 타격 받았다.
시총 1위 애플은 9.25% 급락했고, 엔비디아는 7.81% 떨어졌다. 나이키가 14.44% 급락했고, 할인상품 유통업체 파이브빌로는 27.81% 폭락했다. 갭(Gap) 등 의류 브랜드도 20% 넘는 낙폭을 기록했다.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이날 30.2로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글로벌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유럽 대형주 지수 유로스톡스50은 전장보다 3.57% 떨어진 5114.65로 거래를 마감했다. 독일 지수 DAX40은 3.08%, 프랑스 CAC40은 3.31% 각각 떨어졌다.
영국 FTSE100 지수는 1.55%, 스위스 SMI 지수도 2.34% 각각 하락했다.
국제 금값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도 불구하고 이날 소폭 하락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108.3달러로 하루 전 같은 시간 대비 0.5% 내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통상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당분간 크게 휘청일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2일(현지시간) 한국에 더해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대만 등 미국의 주요 무역상대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한국은 국내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이번 상호관세는 기본관세(5일 시행)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9일 시행)로 각각 구성돼 있다. 타국가의 관세와 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취지라는 게 미국 정부의 설명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러한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전격적으로 발표하고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상대국들이) 미국 제품에 막대한 관세를 부과하고 산업을 파괴하기 위해 터무니없는 비금전적 장벽을 만들었다"며 "미국 납세자들은 50년 이상 갈취를 당해왔으나 더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오늘 드디어 우리는 미국을 앞에 둘 것"이라면서 "이것이야말로 미국의 황금기"라고 했다.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 중국 34% ▲ 유럽연합(EU) 20% ▲ 베트남 46% ▲ 대만 32% ▲ 일본 24% ▲ 인도 26% 등이다. ▲ 태국에는 36% ▲ 스위스 31% ▲ 인도네시아 32% ▲ 말레이시아 24% ▲ 캄보디아 49% ▲ 영국 10% ▲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이 상호관계가 적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