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자산 선호심리에 장중 금 현물가격 최고치 경신

뉴욕증권거래소(NYSE) 전경.
뉴욕증권거래소(NYSE) 전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뉴욕증시가 급락하고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값은 최고치를 또 경신했다. 여기에 경기침체 우려감까지 겹치면서 투자심리를 급속히 냉각시켰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15.80포인트(1.69%) 하락한 4만1583.90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12.37포인트(1.97%) 떨어진 5580.94까지 밀렸다. S&P 500 지수는 지난 3월 10일(-2.7%)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번째로 큰 일일 낙폭이다.

나스닥종합지수는 481.04포인트(2.70%) 급락한 1만7322.99에 장을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 속에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진 영향이다.

이날 발표된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4% 올라 전문가 예상을 상회했다.

또 2월 실질 개인소비지출 증가율이 전월 대비 0.1%(명목 증가율 0.4%)에 머물면서 인플레이션 우려와 소비 둔화 우려를 동시에 키웠다.

장중 미시간대가 발표한 미국의 소비자 심리지수는 2022년 9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발표된 물가와 소비심리 지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맞물려 투자심리를 급속히 냉각시켰다는 분석이다.

이에 테슬라(-3.53%)를 비롯해 엔비디아(-1.58%), 메타(-4.29%), 아마존(-4.33%), 마이크로소프트(-3.02%), 알파벳(-4.88%), 애플(-2.68%) 등 '매그니피센트 7' 종목이 일제히 급락했다.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2.96포인트 오른 21.65로 상승해 다시 20선 위로 뛰었다.

내달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내년까지 고공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금 자료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내달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내년까지 고공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금 자료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더욱이 경기침체 공포가 더욱 부각되면서 미 국채 수익률은 하락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26%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 같은 시간 대비 11bp(1b=0.01%포인트) 급락한 수치다.

안전자산 선호심리도 높아지면서 금값은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이날 장중 금 현물가격은 온스당 3086.70달러까지 오르면서 장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