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NYSE) 전경.
뉴욕증권거래소(NYSE) 전경.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급반등한 채 마감했다.

미국인들의 소비자심리지수가 두 달 연속 급격히 악화했으나 투자자들은 선반영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가격 매력에 더 주목하며 저가 매수세에 집중했다.

1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74.62포인트(1.65%) 급등한 4만1488.1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7.42포인트(2.13%) 급등한 5638.94, 나스닥종합지수는 451.08포인트(2.61%) 뛴 1만7754.09에 장을 마쳤다. 미국 3대 주가지수가 동반 상승한 것은 지난 7일 이후 처음이다.

이날 발표된 지표는 호재보다는 악재에 가까웠다.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에 대해 미국인들의 심리는 또다시 크게 꺾였다는 지표.

미시간대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57.9로 조사됐다.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다. 2월 확정치 64.7과 비교하면 6.8포인트(10.5%) 즐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27.1% 떨어젔다. 

미국 소비자들의 심리지수는 올해 들어 가파르게 꺾이는 모습이다. 올해 1월의 71.7에서 2월 64.7로 내려앉은 데 이어 3월에는 57.9까지 떨어졌다. 불과 두 달 사이에 13.8포인트나 급락한 셈이다.

더욱이 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이번 급락장의 단초를 제공한 재료였다. 예상보다 가파르게 꺾인 소비 심리에 투자자들은 일괄 투매했다.여기에 관세 불확실성까지 얽히며 투자심리는 계속 악화됐다.

다만 이날 투자자들은 소비심리 악화보다 저가 매력에 더 주목해 3대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나스닥 지수는 지난해 12월의 최고치 대비 낙폭이 12% 이상이었다. 이는 그만큼 저가 매력이 부각된 상태라는 의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날은 잠잠하게 있었던 점도 시장엔 '호재'로 작용했다.

다만 단기 반등이 나왔음에도 변동성이 쉽게 잦아들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 게 좋다는 시각이다.

BOK파이낸셜의 마크 기븐스 투자 전략가는 "당분간 변동성이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트럼프 행정부에서 모종의 매끄러운 성명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빅테크 7곳을 일킫는 '매그니피센트7(M7)'은 모두 강세를 기록했다. 엔비디아가 5.27% 상승하며 시장을 견인한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애플, 메타, 알파벳이 2% 안팎의 오름세를 보였다.

테슬라는 3.86% 오르며 급락세에서 회복을 시도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3.27% 뛰었다.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마블테크놀로지를 제외한 나머지 종목이 모두 강세였다.

Arm은 5.26%,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6.23% 상승했고 브로드컴과 TSMC, ASML, AMD도 2% 내외로 상승흐름을 탔다.

미국 디지털 문서 관리 서비스업체 도큐사인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하면서 15% 급등했다.

클라우드 데이터 보안업체 루브릭은 2026 회계연도 실적 전망은 예상치를 웃돌면서 26% 이상 급등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20%로 낮아졌다. 전날 마감 무렵의 24.5%에서 하락했다. 반면 동결 확률은 전날의 18.8%에서 22.5%로 상승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89포인트(11.71%) 내린 21.77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