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도 기류 깨질 것...톱픽으로 삼성SDI&엘지엔솔 꼽아

LG에너지솔루션의 컨테이너형 ESS 배터리 장치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의 컨테이너형 ESS 배터리 장치 [사진=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산업 전 밸류체인에서 중국이 50% 이상 점유율을 장악 중이나, 미국이 2026년부터 '금지 외국기관 규제(PFE)'를 단행하면 글로벌 공급망 지각변동이 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6일 보고서에서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PFE 규제를 통해 중국 공급망을 단계적으로 배제할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탈중국 흐름이 빨라지며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구조적 기회를 맞을 것"이라고 반사적 이익 이슈를 거론했다.

특히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와 흑연처럼 중국 의존도가 높은 소재·부품에서 변화가 극심할 것리라는 게 이 보고서의 골자다.

이 연구원은 미국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폭증으로 ESS 수요가 2028년까지 연평균 26%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중국산 비중이 87%에 달하는 미국 ESS 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기도 하다. 이런 가운데, 이 연구원은 "관세·보조금 정책 변화가 본격화되면 한국 업체의 반사 수혜가 기대된다"고 진단했다.

국내 셀 업체들은 이미 ESS 중심의 라인 전환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또 보고서는 "리튬 등 주요 메탈 가격 상승은 국내 배터리 업체 실적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도 부연했다.

이 연구원은 업종 내 톱픽으로는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를 제시했다. 이어 "ESS 점유율 확대와 수주 증가, 실적 개선 흐름 등을 감안하면 두 업체의 차별화된 주가 흐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ESS #삼성SDI #엘지엔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