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점 창구서 마이데이터 통합조회·맞춤형 금융진단·AI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

[사진=하나은행]
[사진=하나은행]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이 디지털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오프라인 마이데이터'와 '오프라인 오픈뱅킹'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먼저 오프라인 마이데이터는 기존 모바일 앱 '하나원큐'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마이데이터 통합조회 ▲맞춤형 금융진단 ▲AI 자산관리 서비스 등을 고객이 영업점 창구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영업점 창구 상담 시 고객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AI가 손님의 마이데이터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요약·진단하고, 영업점 직원은 이를 바탕으로 고객 연령대별 맞춤형 상품과 금융 솔루션을 제안하는 등 효율적인 상담이 이뤄지도록 했다.

또 오프라인 오픈뱅킹 서비스는 고객이 다른 은행 계좌 잔액 및 거래 내역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다. 이 뿐만 아니라 1일 1000만원까지 출금이 가능해 다른 은행을 방문하지 않고도 금융 업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하나은행은 이번 대면 서비스 시행은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과 은행 영업점이 부족한 지역에 거주하는 손님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했다. 이를 통해 금융 사각지대가 해소되고, 포용금융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여기에 하나은행은 오는 12월 19일까지 마이데이터를 통해 자산을 최초로 연결하거나 재연결한 고객을 대상으로 '거울아 거울아' 이벤트도 한다.

이 기간 동안 마이데이터를 통해 적금·주택청약·IRP·ISA 등 금융상품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된 고객에게는 최대 5잔의 커피 쿠폰을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모바일 앱 하나원큐 또는 하나은행 고객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이번 대면 서비스 시행으로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에게도 마이데이터와 오픈뱅킹 서비스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모든 고객이 하나은행의 다양한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금융 접근성을 높여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하나은행은 지난 6월 마이데이터 2.0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번 대면 서비스 오픈을 시작으로 마이데이터 정보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종합 컨설팅 기능'도 단계적으로 고도화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