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신용대출 증가세에 우려 목소리..."일일 동향 집중적으로 점검" 해명

[사진=금융위원회]
[사진=금융위원회]

금융 당국이 코스피 상승에 편승한 일명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에 최근 안일한 인식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의 "빚투도 레버리지의 일종" 발언 때문이다. 이런 논란과 관련해 금융위는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수반돼야 한다"고 해명하고, 대표적인 빚투 지표인 신용거래융자 잔액을 일일 점검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17일자 보도 참고 자료를 통해, 전 금융권 신용대출이 올해 1∼10월 사이 2조원 순감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는 과거 평균(2015∼2024년 1∼10월 평균)인 9조1000억원 순증 대비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금융위는 "빚투의 경우 투자자 본인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수반돼야 한다"며 "이것은 금융위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매수 증권을 담보로 융자하는 '신용거래융자' 잔액이 급증한 것과 관련해 "증권사별 총량 제한, 보증금률·담보비율 제한, 고객·종목별 한도 차등 등을 통해 리스크를 자세히 관리 중"이라고 밝혔다.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 10월 4주 24조3000억원에서 ▲10월 5주 25조1000억원으로 늘었다. 이후 ▲11월 1주에는 25조8000억원 ▲11월 2주에는 26조원에 달했다. 급기야 ▲이달 7일에는 26조20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증권사별 신용거래 융자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일별로 전환해 일일 동향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향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신용대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