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개발원·손보협회, 안전운전 보상특약 내용 확인·당부
추석 연휴 시작 전날은 평상시보다 교통사고가 21% 늘고, 연휴 기간에는 가족 동반 이동으로 사고당 피해자가 두 배가량 증가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일 보험개발원(원장 허창언)과 손해보험협회(회장 이병래)는 추석 연휴를 맞아 최근 5년간(2020~2024년) 추석 연휴 기간 중 자동차보험 사고 주요 특징과 안전운전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먼저 법정공휴일 연휴 3일과 앞뒤 이틀을 포함한 5일을 연휴 기간으로 정의했을 때, 연휴가 시작되기 전날 사고 건수(4004건)는 평상시보다 21%, 피해자 수(6139명)는 27% 증가했다.
![추석 연휴기간 일평균 대인사고 피해자 수. [자료=보험개발원]](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510/234332_242967_3843.png)
추석 당일 사고 건수(2565건)는 평상시보다 23% 적었지만 사고당 피해자 수(2.3명)는 평상시의 1.6배에 달했다. 특히 가족 단위 이동이 많아 20세 미만 어린이·청소년 피해자 수(766명)는 평상시(371명)보다 2.1배 늘었다.
운전자가 거주하는 생활권(광역시·도) 밖에서 발생한 사고 비중도 연휴에 높았다. 추석 당일에는 생활권 외 사고 비중이 42%로 평상시(26%)보다 16%포인트(p) 높았다. 사고 형태별로는 추석 당일 뒤에서 들이받는 추돌 사고 비중이 50%로 평상시(39%)보다 11%포인트 높았다.
사고가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연휴 전날은 오후 4~6시, 연휴 기간에는 오후 12~4시였다. 추석 당일에는 피해자의 44%가 오후 12~4시에 집중돼 평상시(29%)보다 15%p 높았다.
연휴 기간에는 음주 및 무면허 운전 사고 피해도 증가했다. 추석 당일 음주 사고 피해자는 평상시보다 1.4배 늘었고, 연휴 전날과 다음 날에는 무면허 사고 피해자가 각각 1.6배, 1.4배 증가했다.
개발원과 손보협회는 안전운전을 위해 운행 전 차량 점검과 교통법규 준수를 강조했다. 배터리, 타이어 공기압과 마모 상태, 엔진오일, 냉각수, 브레이크 등 주요 부품을 사전 점검하는 방식이다. 특히 가족 단위 이동이 많은 만큼 전 좌석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음주 및 무면허 운전을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장거리 운전 시 2시간마다 휴식을 취하고 충분한 차간 거리를 확보할 것을 권고했다. 이 때 보험 가입 범위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단기 운전자 확대 특약이나 원데이보험을 활용해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배터리 방전, 타이어 펑크 등 긴급 상황 발생 시에는 보험사의 24시간 긴급출동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전기·수소차 운행 증가로 견인거리 확대 특약 가입도 권장된다.
교통사고 발생 시에는 신속히 보험사에 사고를 접수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하며, 고속도로 정차 중 '긴급대피 알림 서비스'를 받은 경우 안내에 따라 대피해야 한다.
가을철 태풍과 국지성 호우로 인한 차량 침수 위험도 주의가 필요하다. 침수 시 시동을 걸지 말고 즉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며, 출발 전 기상 상황을 확인해야 한다. 차대차 사고만 보장하는 자차보험은 침수 피해를 보상하지 않으므로 '차량 단독사고 손해 보상 특약' 가입 여부도 점검해야 한다.
허창언 개발원 원장은 "추석 연휴에는 평소보다 사고 위험이 커지는 만큼 운전자들이 안전운전에 더욱 유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병래 손보협회 회장 역시 "예기치 못한 사고에 대비해 자신의 자동차보험 보장 내용을 미리 확인하고, 필요 시 특약 가입을 통해 안전하고 즐거운 명절을 보내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