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미르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의료 연구팀이 우주에서의 생체반응 연구를 통해 조혈모세포와 인공혈액의 대량 생산 공정을 확립하고 희귀 혈액질환과 면역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반 기술을 마련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루미르는 인공위성 기반 세포 자동 배양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우주 실증 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최초 우주의학 실증 플랫폼 구축에 기여할 계획이다.
16일 주식시장과 의료업계에 따르면 국내 의료연구팀이 우주에서의 생체반응 연구를 통해 조혈모세포와 인공혈액의 대량 생산 공정을 확립하고 희귀 혈액질환과 면역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반 기술을 마련할 예정이다.
의료난제 극복 우주의학 혁신의료기술개발사업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이 주관하고 루미르와 엡셀이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올해부터 2028년까지 총 54개월 간 진행되며, 총연구비는 90억원 규모다.
연구는 총 5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첫해에는 지구 중력 환경에서 조혈모세포 분화 공정을 확립하고, 이후 미세중력 모사 환경과 실제 우주환경에서의 실증 연구로 이어진다. 2027년 4분기에는 루미르와의 협력을 통해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우주 바이오 캐비닛에서 실험 데이터를 수집할 계획이다.
서울성모병원은 주관기관으로서 미세중력 환경에서 iPSC 기반 세포 분화 연구와 우주환경 내 실증 연구를 수행하며, 이를 의료 현장에 적용하고 임상 연구로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공동 연구기관인 입셀은 우주환경을 활용한 iPSC 기반 재생의료 치료제 제조 공정 개발을 주도한다. 우주 실증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조 공정을 개선하여 제품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루미르는 인공위성 기반 세포 자동 배양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우주 실증 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최초 우주의학 실증 플랫폼 구축에 기여할 계획이다.
연구 결과는 의료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질적인 임상 연구로 이어질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혈액암, 빈혈, 면역결핍증과 같은 난치성 질환의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며 우주의학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한 루미르에 투자자들의 매수심리가 강하게 작용하는 모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