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영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이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팡쿤 주한 중국대사관 대사대리와 면담에 앞서 악수하며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최지영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이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팡쿤 주한 중국대사관 대사대리와 면담에 앞서 악수하며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이 주한 중국·일본 대사들을 잇달아 만나며 계엄령·탄핵 이슈 이후 금융당국의 시장 안정조치 대응 등을 설명했다.

1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지영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팡쿤 주한 중국대사관 대사 대리와 면담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이날 오후 금융감독원에서 미즈시마 코이치 주한 일본 대사와 면담을 했다.

최지영 관리관은 "최근 정치 상황으로 주한 기업들을 비롯해 본국의 우려가 적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한국은행과 공조해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에 선제 대응하고 있으며 우리 경제시스템은 굳건하고 정부의 긴급 대응체계도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정부 입장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 사례를 볼 때 정치 등 비경제적 요인에 의한 충격은 제한적이었고 중장기적으로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에 팡쿤 대사 대리는 "가까운 이웃과 중요한 협력 파트너로서 한국의 경제·사회의 안정을 유지하기를 희망한다"며 "한중 양국 사이에 다양한 분야의 경제 협력과 관광 등 인적 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긴밀한 소통을 통해 지속 협력하자"고 답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오후 미즈시마 코이치 주한 일본 대사와 면담을 했다.

이 원장은 "최근 국내 정치 불확실성으로 한국 경제·금융에 대한 대내외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한국 금융당국은 무제한 유동성 공급을 포함한 시장안정조치 등을 통해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고 시장 상황 변동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 사례를 볼 때도 정치 등 비경제적 요인의 충격은 일시적이고 제한적이었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 신뢰 제고를 위해 기업지배구조 개선, 밸류업 프로그램, 외환시장 선진화,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 과제를 일관되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