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연신율 50%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왼쪽부터 늘이기-접기-비틀기를 구현한 모습. [LG디스플레이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11/215620_220111_198.jpg)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50% 연신율(늘어나는 비율)을 구현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개발에 성공한 가운데 케이엔더블유가 공동으로 참여해 주목을 받고 있다.
11일 LG디스플레이와 정부 등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 등 관련기업들이 이달 8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개발 국책과제 최종 성과 공유회'를 열어 지난 5년간의 연구개발 성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성과에서 12인치 화면이 최대 18인치까지 신축성 있게 늘어나면서도 일반 모니터 수준의 고해상도 100ppi(인치당 픽셀 수)와 적록청(RGB) 풀 컬러를 동시에 구현한다. 2022년 공개한 1차 시제품과 비교해 최대 연신율을 기존 20%에서 50%로 두 배 이상 크게 높인 것이 특징이다. 연신율이 높을수록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자인이 가능해져 여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콘택트렌즈에 쓰이는 특수 실리콘 소재 기판 등을 인용한 신기술을 적용해 시제품을 개발했다. 1만 회 이상의 반복 연신에도 문제없는 내구성을 확보했고 40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m) 이하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발광원을 써서 저온 및 고온, 외부 충격 등 극한의 환경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유지한다.
이날 LG디스플레이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화면이 올록볼록한 형태로 튀어나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소방관 화재 진압복에 부착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을 내놓았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국내 산학연 기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디스플레이 생태계 구축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LG디스플레이는 2020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개발 국책과제 주관기업에 선정되어 국내 19개 산학연 기관과 공동 연구개발을 해왔다. 이중 한 곳이 케이엔더블유이다. 케이엔더블유는 트레처블 패널의 백 플레인(Backplane)용 연신 가능한 기판 전극과 모듈화 장비 기술 개발 등이 있는 3세부에 참여했다.
[특징주] LK삼양, '머스크 트레이드' 스페이스X 가속화…차세대 별추적기 탑재 부각
[추천주] 美 트럼프 트레이드ㆍ中 경기부양책 경계감 속 삼성바이오로직스ㆍHD한국조선해양에 주목한 까닭
[종목이슈] 트럼프, 尹과 통화서 '조선협력 요청'에 한화오션 강세…조선株 수혜 기대감↑
[특징주] 에이직랜드, TSMC 첨단공정 미국 이전 소식에…국내유일 협력사 수혜 확장↑
[특징주] 라메디텍, 바늘없는 주사기로 '항암치료 신약후보물질 개발사'와 논의…바이오 시장 확대↑
이에이트, 국내유일 레벨3 '디지털 트윈기술' 우주항공ㆍ방위산업 적용 의무화 수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