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경영혁신방안' 일환…고객 피해 최소화

새마을금고중앙회관 전경 [새마을금고중앙회 제공]
새마을금고중앙회관 전경 [새마을금고중앙회 제공]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총 14개의 부실 우려 금고에 대한 합병을 완료했다.

25일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행정안전부와 지난해 11월 발표한 '새마을금고 경영혁신방안'의 일환이다.

지난해 7월 대규모 자금 인출 사태 이후 금고구조개선본부를 신설ㆍ운영하며, 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등을 기준으로 합병 대상 금고를 선정했다. 이어 인근 우량금고와의 합병을 추진해 회원 재산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아울러 합병으로 인한 고객들의 피해와 불편함이 없도록 합병 대상 금고는 새로운 금고의 지점으로 운영하고 있다. 합병 대상 금고의 5000만원 초과 예적금을 포함한 고객 예적금과 출자금은 원금과 이자 모두 새로운 금고에 100% 이전해 안전하게 보호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자체정상화가 어려운 금고는 합병을 통해 회원과 예금자 피해를 최소화할 것"이라며 "영세 금고의 자율합병을 유도해 규모의 경제 실현ㆍ경쟁력 강화에 힘쓰는 등 금고 경영합리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합병 등 경영합리화로 인해 법인 수는 감소하더라도, 총 점포 수는 유지해 금융소외지역에 대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