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7월부터 11개월간 영업지원 서비스 고도화 작업 마무리

신한라이프가 영업경쟁력 강화와 설계사의 전문적인 고객 서비스 지원을 위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업지원플랫폼을 새롭게 오픈했다. [신한라이프 제공]
신한라이프가 영업경쟁력 강화와 설계사의 전문적인 고객 서비스 지원을 위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업지원플랫폼을 새롭게 오픈했다. [신한라이프 제공]

신한라이프(대표이사 사장 이영종)는 영업경쟁력 강화와 설계사의 전문적인 고객 서비스 지원을 위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업지원플랫폼을 새롭게 오픈했다고 14일 밝혔다.

앞서 신한라이프는 작년 7월부터 11개월에 결친 프로젝트를 통해 UX(사용자경험)을 반영한 설계와 청약·고객관리 등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업무를 처리토록 프로세스를 고도화해왔다.

이번 프로젝트는 △영업채널 특성에 최적화된 전용 시스템 제공 △클라우드, 인공지능, 데브옵스(DevOps) 등 최신 기술 도입을 통한 시스템 혁신 △생성형 AI를 활용한 전문적 고객 상담 지원 △다양한 인증 수단을 통합 관리·제공하는 통합인증 서비스 등을 선보였다. 사용자 편의성 향상과 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했다는 것이 회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특히 생명보험업계에서는 처음 영업지원플랫폼에 생성형 AI를 적용한 ‘스마티’ 서비스를 탑재한 것이 돋보인다. 신한라이프의 자체 언어모델을 토대로 개발한 AI 설계사 ‘스마티’는 고객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유형·생애주기별 위험 요인과 관리 방안을 생성해 고객과 설계사에게 제공한다. 또 고객의 보장 현황을 분석해 최적화된 담보로 구성된 상품을 자동 추천하고 설계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다. 

대면 채널에 미러링 기술을 적용한 ‘보이는 청약’ 서비스도 업계 최초로 선보인다. 이를 통해 종전까지 대면으로 진행해야 했던 상품설명부터 전자서명까지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게 돼 원거리 고객에게도 편리하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밖에도 디지털 기기별로 최적화된 사용자 환경은 물론 다중 가입설계, 바이오 인증 등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모바일 기기를 통한 법인전자청약 프로세스가 도입돼 모든 고객이 간편하게 디지털 기반으로 청약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한상욱 신한라이프 DX그룹장은 “사용자경험을 반영한 차별화된 시스템 지원으로 영업활동 효율성도 극대화될 것”이라며 “시스템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영업 현장에서 고객을 위한 AI 기반 디지털 혁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