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 고려대와 태양광 발전 관련 소재인 페브로스카이트 산학 협력 계약 초읽기

아이엠 주가가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아이엠이 자회사인 아이엠첨단소재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퀀텀포트에 투자를 진행했다는 소식이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7일 아이엠첨단소재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사업 확장과 신소재 발굴을 위해 이뤄졌다. 아이엠은 2차전지 음극재용 복합동박필름, 하이엔드 연성동박적층판(FCCL) 제품 양산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이 사업을 위해 증착 장비와 도금 장비 도입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퀀텀포트는 아이엠, 아이엠첨단소재의 신소재 사업에 참여해 자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아이엠은 지난 2016년부터 터치 센서 모듈과 투명 발열 필름 등 스마트필름 사업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올해는 신소재 사업으로도 사업 영역을 확대 중이다. 스마트필름 사업은 기존 터치 센서 모듈 제품과 더불어 자동차, 건축, 선박 등 최근 다양한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아이엠은 신규 유망 사업을 육성하고 전문화를 이루기 위해 해당 분야의 사업부를 분사해 2020년 아이엠첨단소재를 설립한 바 있다.
아이엠 관계자는 "사업 확장과 신소재 발굴을 목표로 퀀텀포트에 투자를 진행하게 됐다”며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기술력을 강화를 통해 산업 내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이엠은 고려대학교와 태양광 발전 관련 소재인 페브로스카이트 산학 협력 계약도 앞두고 있다. 해당 계약은 페브로스카이트 기술과 아이엠의 필름 기술을 접목한 태양광 발전 필름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정민 기자
press@financialpost.co.kr
관련기사
[특징주] 모델솔루션, 애플 스마트폰용 AI칩 설계 이어 데이터센터 AI반도체 자체 개발…프로토 타입 고객사 주목↑
[종목이슈] 셀트리온, '램시마SC' 독일점유율 39% 확보 소식에 강세…4년 만에 10배↑
[특징주] 금양그린파워, 전세계 전력 수요 증가분 '저탄소 전력 공급' 원자력으로 충족…소형 원자로 SMR 사업 참여 부각↑
[특징주] 태성, 1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1324%↑…2차전지 복합동박 동도금설비 샘플 테스트 진행
AI 태풍·C커머스 돌풍 국면서…증권가가 LG이노텍·네이버 주목한 까닭 [추천주]
[특징주]시지트로닉스, 전세계 전력난 변압기용 고전력 GaN 반도체 제품 기술 확보•양산 준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