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장, 모친 홍라희 전 관장과 함께 30분간 빈소 머물며 유족 위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오른쪽)과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이 30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 세브란스 장례식장에 마련된 故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 빈소에 도착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오른쪽)과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이 30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 세브란스 장례식장에 마련된 故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 빈소에 도착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모친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과 함께 30일 고(故)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이재용 회장은 재계에서 제일 먼저 빈소를 찾아 효성가(家) 유족을 위로했다.

이재용 회장은 이날 오후 2시쯤 모친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과 함께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빈소를 찾았다. 이 회장과 홍 전 관장은 효성그룹이 공식적으로 조문객을 받기 시작한 지 1시간 만에 빈소를 방문했다.

이재용 회장은 오후 2시35분까지 약 30분간 빈소에 머물며 유족을 위로했다. 다만 이 회장은 '고인과 어떤 관계인지' 등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효성그룹과 삼성그룹의 인연은 재계 내에서도 유명하다. 창업주이자 부친인 만우(晩愚) 조홍제 회장은 해방 후인 1948년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와 공동 출자해 삼성물산공사(현 삼성물산)를 만들었다.

두 회장은 1962년 동업 관계를 청산했다. 조홍제 회장은 56세에 독자적으로 효성물산주식회사를 설립했다. 현재 효성그룹의 모태다. 조 회장은 이후 1973년 동양폴리에스터, 1975년 효성중공업을 잇따라 설립하며 사업영역을 확장해 1970년대 중반에는 효성그룹을 국내 10대 재벌로 일으켜 웠다.

효성그룹은 1984년 조홍제 창업주가 작고한 후 조석래·조양래·조욱래 3남에게 각각 계열분리했다. 장남인 조석래 명예회장이 효성을, 차남인 조양래 명예회장이 한국타이어(현 한국앤컴퍼니그룹)를, 삼남인 조욱래 회장이 대전피혁(현 DSDL)을 각각 승계했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타계했던 2020년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은 이틀 연속 조문하며 두 그룹 간 끈끈한 관계가 재조명되기도 했다.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1968년생 동갑으로 경기초등학교와 일본 게이오대 대학원 동문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