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 모두가 변화와 혁신해야"
11일 취임식, 혁신 전략 선보일 예정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왼쪽)은 7일 임기를 시작하면서 서울 중구 농협본부의 본관, 신관, 별관을 돌며 직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농협 제공]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왼쪽)은 7일 임기를 시작하면서 서울 중구 농협본부의 본관, 신관, 별관을 돌며 직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농협 제공]

지난 7일 임기를 시작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첫 출근 일정을 직원들과의 소통으로 시작했다. 서울 중구 서대문에 위치한 농협 본부의 본관, 신관, 별관의 모든 층을 돌며 모든 직원들의 손을 일일이 잡고 인사했다.

10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강 회장은 직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난 60여 년간 농협이 눈부시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직원 여러분의 수고와 노력 덕분"이라고 격려하면서도 "현재 농협을 바라보는 국민, 농업인들의 시각이 녹록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구성원 모두가 변화와 혁신을 통해서 새로운 대한민국 농협을 만드는 데 앞장서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농협을 만들어 달라"고 주문했다.

이와 더불어 강 회장은 "농협의 모든 업무 추진 과정에서 현장의 직원들이 주역이고, 회장은 이를 뒷받침하는 후원자, 보조자 역할"이라는 메시지로 조직 운영 철학을 밝히기도 했다.

한편,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11일 서울 중구 농협 본부 대강당에서 취임식을 갖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혁신 전략을 선보일 예정이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왼쪽)은 7일 임기를 시작하면서 서울 중구 농협본부의 본관, 신관, 별관을 돌며 직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농협 제공]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왼쪽)은 7일 임기를 시작하면서 서울 중구 농협본부의 본관, 신관, 별관을 돌며 직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농협 제공]

강 회장은 선거전에서 100대 공약을 내거는 등 다른 후보들보다 농협의 쇄신에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왔었기에 농협 안팎으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강 당선인의 바람대로 농협이 대대적인 쇄신과 혁신을 이룰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강 회장은 당선증을 받은 뒤 "농협을 혁신하고 변화시키라는 뜻으로 알고 있다"며 "지역농협이 주인이 되는 중앙회를 만들겠다"고 힘주어 말한 바 있다. 특히 강 회장은 1987년 농협에 첫발을 디딘 ‘정통 농협맨’이다. 말단 직원으로 시작해 입사 10년 만인 1997년 상무로 승진했고, 2006년 율곡농협 조합장에 당선됐다. 이후 역량을 발휘해 5선 조합장에 올랐다.

강 당선자의 대표 공약은 지역 농·축협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무이자 자금 규모를 20조원으로 늘리고 상호금융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었다. 상호금융을 독립시켜 제1금융권 수준으로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아울러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중앙회에 미래전략실을 신설하고 조합원을 위한 요양병원을 설립하겠다는 공약도 내세웠다.

특히 강 당선자는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앙회와 하나로유통, 농협홍삼, 남해화학 등을 보유한 경제지주의 통합을 지배구조 개편안으로 제시했다. 

현재 농협의 지배구조는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이 각각의 지주로 존재하는 '1중앙회 2지주 체제'다. 농협은 2012년 중앙회·경제지주·금융지주 구조로 개편됐는데, 10여년 만에 다시 통합이 추진되는 것이다. 중앙회와 경제지주가 통합되면 중앙회 산하에는 NH농협은행, NH투자증권 등을 보유한 금융지주만 남게 된다. 

다만 농협중앙회 지배구조 개편은 농협법 개정을 통해야만 이뤄질 수 있다. 정부·국회를 설득하기 위해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 1961년 출범한 농협중앙회의 자산 규모는 약 145조 원이고 계열사는 32개에 달한다.

농협 조직 내부의 기강을 다잡는 것도 차기 중앙회장의 몫이다. 농협은 직장 내 괴롭힘과 성희롱, 횡령 사고 등이 잇따르자 지난해 '범농협 사고 근절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사고, 갑질, 성희롱 근절 캠페인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지난 6일에도 지방의 한 영업점에서 110억원 규모의 배임 사고가 발생해 형사 고발에 나선 사실이 알려져 파문이 일었다.

농협 안팎에서는 비위로 인해 농협이 대중적 지지를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며 내부 통제 시스템 점검과 더불어 실효성 있는 감사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