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이랩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개발한 차세대 D램 'GDDR7'을 공개하면서다. 고객사인 AMD와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그래픽처리장치)에 장착된다는 소식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씨이랩은 엔비디아의 국내 유일 소프트웨어 파트너사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말 GDDR7 D램을 출시할 계획이다. 주요 고객사인 AMD와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그래픽처리장치)에 장착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출시에 앞서 내달 18일(현지시간)부터 닷새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전기전자공학자협회 고체회로학회(IEEE ISSCC)'에서 GDDR7 D램을 주제로 발표한다. GDDR7 D램의 압도적인 데이터 처리 속도를 구현한 핵심 기술 'PAM3 신호 방식'에 대해 다룬다. PAM3 신호 방식은 기존 NRZ 방식보다 동일 신호 주기에 1.5배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GDDR7 D램은 32Gbps GDDR7 D램 기준, GDDR6 대비 데이터 처리 속도는 1.4배, 전력 효율은 20% 개선했다. 열저항도 약 70% 감소해 고속 동작에서도 안정적인 품질을 제공한다. 고성능컴퓨팅(HPC),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32Gbps GDDR7 D램을 그래픽 카드에 탑재하면 최대 초당 1.5T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최대 1.1TB를 제공하는 GDDR6 대비 1.4배 향상된 성능이다. UHD 영화 50편을 1초 만에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엔비디아의 국내 유일 소프트웨어 파트너사인 씨이랩이 주목을 받고 있다.

씨이랩은 대용량 영상데이터에 AI 기술을 적용해 가치를 창출하는 AI 영상분석 전문기업으로 GPU 기반 데이터 활용률을 높이는 솔루션 우유니(Uyuni)가 GPU의 약점을 커버해 다수의 작업이 가능하게 만들어 고평가를 받았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 점유율 1위인 미국 엔비디아(NVIDIA)의 국내 유일 소프트웨어(SW) 파트너사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