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말 무수익여신 잔액 5조 돌파…작년 말 대비 23%↑
경기침체로 상·매각 지지부진…"선제적 리스크 관리 총력"
![서울 중구 한국은행 화폐수납장에서 시중은행에 공급할 자금 방출 작업이 진행 중이다. [공동취재단]](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506/227911_234364_942.jpg)
국내 주요 시중은행의 속앓이가 깊어지고 있다. 분기마다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이자장사' 뭇매에 '깡통대출' 증가로 웃지 못할 처지에 놓였다. 특히 깡통대출로 불리는 무수익여신은 이자는커녕 원금도 회수하기 어려운 부실채권이라 은행 입장에선 처리 방안을 두고 골머리를 앓을 수밖에 없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무수익여신 잔액이 5조3759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말보다 약 23% 늘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약 43% 증가했다. 5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분기 기준으로 2019년 3분기 말(5조2181억원) 이후 약 5년 반 만이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은행(1조4099억원)이 가장 많은 규모를 보였다. 다음으로 KB국민은행(1조3680억원), 신한은행(9182억원), 하나은행(8843억원), 우리은행(7954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무수익여신이 급증한 데는 부실기업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기업대출이 3조9122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5767억원) 대비 46.1%가 올랐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은 38.4%(1조987억원→1조5209억원) 증가했다.
은행으로선 답답한 상황이다. 이미 발생한 부실채권의 경우 장부에서 지우는 '상각', 시장에 내다 파는 '매각'을 활용한 건전성 관리를 통해 리스크 확대 대응에 나서는 게 일반적이나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불확실성이 커졌다. 경기 침체로 이자를 갚을 여력이 부족한 부실기업은 계속 늘어나는데 상·매각은 지지부진하게 진행된다는 얘기다.
결국 은행은 사전 대응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A은행 관계자는 "회수가 힘든 여신에 대해 어떻게 할 것인지 사후 대책을 세우기 보단 선제적 관리로 무수익여신 발생을 예방하는데 초점을 둬야 할 것"이라며 "건전성 관리에 보다 더 노력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B은행 관계자 역시 "은행권은 최근 부실채권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이슈 자산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업종 및 포트폴리오 유형별로 다각적인 점검을 통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KB국민은행은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에 발맞춰 여신관리부 산하에 '개인채무조정전담팀'을 신설해 운영 중이다. 이와 함께 재무 구조가 취약한 한계기업을 대상으로 내부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운영해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 제고를 돕고 있다.
신한은행은 리스크 관리 유관 그룹의 정밀 점검에 의한 론 리뷰를 통해 부실예상차주, 사전 점검 실시 및 관리를 병행하고 있다. 또 취약차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상생금융 지원을 통해 세밀하면서도 선제적으로 리스크 및 건전성 관리를 하고 있다. 기업성공프로그램(CSP), 개인사업자대출119, 기업 재도약 프로그램 등 부실기업의 경영정상화를 도모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도 진행 중이다. 현장 중심의 건전성 관리 체계를 강화해 위기 대비에 철저히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하나은행은 자산 건전성 관리를 총괄하는 '크레디트코스트협의회'를 매월 개최하고 있다. 아울러 '연체대출관리 태스크포스팀(TFT)'를 통해 유관 부서들과 연체 발생 현황 분석 및 공동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주요 여신 거래처의 신용도 및 상환능력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조기경보 체계를 통한 선제적 대응이 준비된 상태다. 따라서 무수익여신 증가에도 지속적인 여신 관리를 바탕으로 '관리 범위 안에 있다'는 게 내부 평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