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지노믹스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랩지노믹스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없이 미국시장에 진단 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진단 수탁기관인 '클리아랩' 3곳을 인수하고 추가로 1곳을 인수한다는 소식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수가 마무리되면 랩지노믹스는 국내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미국 클리아(CLIA)랩 4개를 보유하며 현지 전역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30일 주식시장과 랩지노믹스에 따르면 유전체 분자진단 전문기업 랩지노믹스는 미국 아이엠디(IMD) 딜 클로징 실사를 종료하고 2주 내 최종 인수를 완료할 예정이다. 인수가 마무리되면 랩지노믹스는 국내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미국 클리아(CLIA)랩 4개를 보유하며 현지 전역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랩지노믹스는 기존의 동부 큐디엑스(QDx)를 포함해 이번에 인수하는 중부, 서부 클리아랩을 발판 삼아 미국에 차세대염기서열(NGS) 서비스를 제공한다. IMD 오로라랩이 제공하고 있는 혈액암 및 고형암 NGS 서비스는 보험 수가가 적용되는 ‘CPT코드’, ‘Z코드’도 보유하고 있어 빠른 적용처 확대가 가능하다.

IMD는 미국 유명 종합병원인 세더 시나이 메디컬 센터(Ceder Sinai Medical Center)와 종합암패널도 공동 개발 중이다. 분석적 성능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임상적 성능시험을 마무리하고 실험실개발검사(LDT)로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랩지노믹스는 국내 최초로 NGS 기반 산전기형아검사 서비스를 상용화한 이력을 활용해 다양한 암 검사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IMD는 미국 보험사 중 매출 1위를 기록하는 블루크로스 블루쉴드와 계약돼있어 QDx의 매출 상승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또 QDx는 병리검사에 특화된 반면 IMD는 요양병원 및 암전문병원 등이 주요 대상이기 때문에 수익성 측면에서 상호 보완할 수 있게 된다.

김정주 랩지노믹스 대표는 "4개의 클리아랩이 보유한 영업력 및 보험사 네트워크에 랩지노믹스의 기술력을 결합하면 막대한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미국 암 진단 최고권위자 중 한명인 IMD의 페트로스 지아니코풀로스(Petros Giannikopoulos) 박사와도 협력해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전했다.

이어 "매출 상승과 원가 절감이 모두 가능한 LDT 서비스를 선보여 최대 진단 시장인 미국을 선점하는 전략을 펼칠 것"이라며 "지난 8월 출하된 제1호 LDT에 이어 총 10개 이상의 제품군을 미국 현지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클리아랩은 외국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 지름길로 꼽힌다. 해당 기관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실험실개발테스트(LDT)를 FDA로부터 별도로 승인받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어서다. 외국 기업이 미국 내 클리아랩을 두고 있으면, 자사의 제품을 해당 클리아랩의 LDT로써 현지에서 사용할 수 있다. FDA의 정식 승인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셈이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며 국내에서 최초로 또한 유일하게 클리아랩 4곳을 인수해 미국 전역을 커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랩지노믹스에 투자자들의 매수심리가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