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전회장 친인척 대출비리에 첫 공식 발언…“국민신뢰 크게 저하”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조병규 우리은행장 거취는 이사회 판단 사안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파이낸셜포스트 DB]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파이낸셜포스트 DB]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12일 손태승 우리금융 전 회장 친인척 대출비리와 관련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조병규 우리은행장 등 우리금융 현 경영진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간담회에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손 전 회장 친인척 대출비리 관련 현 경영진 책임론에 대해 “우리은행과 우리금융지주에서 사고가 반복된데 대해서는 금융권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크게 저하되는 사안이어서 매우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또 “현재 우리금융지주 경영진도 이번 사고와 관련해서 깊은 책임감을 느낄 것으로 생각한다”며 “금융감독원에서 검사가 아직 진행 중이고 우리금융에 대한 정기검사도 곧 시작하는 만큼 진행 상황을 같이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다만 김 위원장은 “거취와 관련해서도 여러 얘기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현 경영진의 거취와 관련한 부분은 기본적으로 우리금융 이사회, 주주총회에서 판단할 사항”이라고 선을 그었다. 

특히 김병환 금융위원장의 이번 발언은 손 전 회장 친인척 대출비리에 대한 첫 공식 입장으로 주목되는데 기본적으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적한 현 경영진 책임론과 동일한 내용이다. 

앞서 이복현 금감원장의 발언과 같은 내용을 김 위원장이 재확인한 셈인데 민간 금융사 최고경영자(CEO)의 거취 문제에 금융당국이 직접 개입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의미로 보인다. 다만 김 위원장이 국민들의 금융권 신뢰를 저하시킨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한 만큼 향후 임 회장과 조 은행장에 대한 엄중한 제재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파악된다.

금감원은 손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현장검사를 통해 조병규 행장은 지난해 10월, 임종룡 회장은 올해 3월에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이사회는 물론 금융당국에도 보고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례적으로 이복현 금감원장은 금융사고 발생시 신속 대응을 위해 금융당국에 보고해야 하는 은행법 관련 조항을 위반한 혐의를 직접 거론했다.

임 회장과 조 행장이 이번 금융사고를 고의로 은폐하려고 한 은행법 위반혐의가 사실로 밝혀진다면 경영진에 대한 제재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금융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한편 김 위원장은 우리금융의 보험사 인수와 관련해서는 “금감원에서 먼저 심사하고 이를 토대로 금융위가 법령이 정한 대로 인가 여부를 결정할 것”이며 “특별한 방향성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