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센스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급등세를 연출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 등 4개 기관 및 중소기업과 함께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이하 SOFC) 연료전지 핵심 소재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앞서 아모센스는 지난해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와 수소 연료전지 (SOFC) 부품 국산화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5일 주식시장과 한수원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과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이하 SOFC) 연료전지 핵심 소재 국산화에 성공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열린 '2024 대한민국 에너지대전(부산 BEXCO)'에 참석해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블룸SK퓨얼셀 등 4개 기관 및 중소기업과 함께 진행한 연료전지 전해질 소재 국산화 성공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국산화 성공은 SOFC 전해질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전해질의 원재료와 파우더 등이다. 한수원은 지난 2021년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블룸SK퓨얼셀 등 4개 기관과 협약을 맺고 SOFC 주기기 주요 품목과 관련한 국내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해 기술을 지원하고 육성해 왔으며 국산품 개발에 성공하는 쾌거를 거뒀다.

게다가 이번에 국산화와 동시에 글로벌 시장 진출까지 성공하며 중소기업의 수출 역량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연료전지발전은 연소가 아닌 화학반응을 이용한 발전 방식으로,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미래지향적인 발전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SOFC은 백금과 같은 고가의 전극촉매가 필요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 전해질이 손실되지 않아 이를 보충할 필요도 없다. 아울러 전지가 부식되지 않으면서도 발전효율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외산 기자재라는 한계 때문에 대내외적으로 설비 도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한수원은 관련 기업들과 협력하며 연료전지 기술의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윤상조 한수원 그린사업본부장은 "한수원은 앞으로도 연료전지 기술 자립을 통해 수소경제로의 도약을 앞당기는 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더불어 기업에 성장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연료전지산업 생태계가 건강하게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아모센스는 지난해 12월  SK에코플랜트·미국 연료전지기업 블룸에너지·수소연료전지 공기블로어 제조기업 티앤이코리아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부품 국산화와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소재부품 전문기업 아모센스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전해질 지지체(기판)의 국산화 및 생산체계를 구축을 추진했으며, 국내외 특허 1110여 건을 보유하고 있다.

전력공급망의 대안으로 꼽히는 SOFC 핵심소재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SK에코플랜트 및 블룸에너지와 협약을 맺고 사업을 진행중인 아모센스에 투자자들의 매수심리가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