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이익 침해 논란에 “부족하면 횟수 상관없이 정정신고서 요구”
시총·거래량 현저히 낮은 기업 겨냥 거래소와 좀비기업 퇴출 논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8일 “조금이라도 부족하다면 몇 번이라도 정정신고를 요구하겠다”면서 밸류업 프로그램에 역행하는 두산그룹 사업개편안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자료 이미지 [금융감독원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8일 “조금이라도 부족하다면 몇 번이라도 정정신고를 요구하겠다”면서 밸류업 프로그램에 역행하는 두산그룹 사업개편안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자료 이미지 [금융감독원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8일 “조금이라도 부족하다면 몇 번이라도 정정신고를 요구하겠다”며 밸류업 프로그램에 역행한 두산그룹 사업개편안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우선 이복현 원장은 이날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자산운용사 CEO 간담회’에 참석한 뒤 주주이익 훼손 논란을 빚고 있는 두산그룹 사업개편에 불편한 심기를 보였다.

특히 이 원장은 “정정신고서에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 제한 없이 정정 요구를 하겠다”면서 “(두산로보틱스에서) 정정신고서를 제출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기본 원칙은 최초 증권신고서 제출시 부족했다고 생각한 부분인 구조개편의 효과와 의사결정 과정, 그로 인한 위험 등에 대해 주주들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가 기재돼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 원장은 “이같은 부분에 조금이라도 부족한 점이 있다면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지속적으로 정정 요구를 하겠다는 것이 금융감독원의 합의된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두산그룹은 지배구조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두산밥캣을 두산에너빌리티에서 인적 분할해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두산밥캣과 두산에너빌리티 소액주주들은 두산그룹이 추진하는 일련의 지배구조 개편안이 주주 이익을 훼손시킨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복현 금감원장은 기업·대주주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를 강조했다. 이 원장은 “거래소 위주로 진행되는 밸류업 프로그램 자율공시와 관련해 산업을 리드하는 기업이 적극적으로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며 “최고경영자(CEO)와 대주주 레벨에서 해외 투자자, 일반 투자자 대상으로 소통에 적극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이 원장은 또 금융당국에서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페널티로 거론한 ‘좀비기업’의 거래소 퇴출 관련 계획도 시사했다. 이 원장은 “거래소와 상장유지 기준, 상장퇴출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시가총액이 상장시점보다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좀비기업의 경우 일반주주들이 빠져나갈 수단이 없는 셈”이라며 “상장제도의 좋은 면만 취하고 책임이 없는 이런 기업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과연 맞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밖에 주가 폭락사태 등 증시 변동성 확대와 관련해서는 “과거 경제위기 때에 비춰 환율이나 자금시장, 실물경제의 급격한 다운턴은 병행되지 않아 이례적 현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추세적으로 심리적 수급불안이 있는 것 같다”면서도 “국내시장의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금투세 문제, 밸류업 프로그램 등 제도적 측면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