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금융·기후변화 대응·금융소비자 보호 등 상세하게 담아내

KB금융그룹이 그동안 ESG 경영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3 KB금융그룹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KB금융그룹 제공]
KB금융그룹이 그동안 ESG 경영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3 KB금융그룹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KB금융그룹 제공]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은 그동안 ESG 경영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3 KB금융그룹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2011년부터 매년 발간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고객과 사회를 포함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고 상세한 ESG 주요 성과와 활동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9개 중대 주제와 4개 일반주제 등 모두 13개 핵심주제로 구성됐다. 핵심주제는 ‘기업이 환경·사회 등과 상호 주고받는 영향’을 고려한 이중 중대성 평가에 따라 도출됐다.

보고서는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 대응 ▲상생금융 ▲금융소비자보호 ▲디지털 혁신 및 기술 등 5개 주제를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4대 핵심요소’인 거버넌스와 위험관리, 전략, 지표 및 목표를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선 리스크 관리부문에서 다양한 위험에 선제 대비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체계와 전략 등이 소개됐다. 또 기후변화 대응 부문에는 올해부터 연결회계기준으로 확대 산출한 ‘내부배출량 및 금융배출량’과 고도화된 기후시나리오 분석, 재무적 영향력을 산출 결과가 공개됐다.

또 상생금융 부문에는 금융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상생금융 상품 및 서비스와 장애인·외국인·시니어 고객을 위한 금융접근성 강화 노력을 담았다. 소상공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등 KB금융에서 국민·사회와 상생 실천하는 노력이 고스란히 포함됐다.

더불어 금융소비자보호 부문의 경우 금융소비자의 권익 증진과 피해 예방을 위한 KB금융의 철저한 금융소비자보호체계 설명이 눈길을 끈다. 디지털 혁신 및 기술 부문에서는 KB금융의 다양한 금융플랫폼과 AI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 사례들이 소개됐다.

보고서는 또 ‘정보보호, DEI(Diversity, Equity & Inclusion) 인재관리, 윤리경영 및 준법, 지속가능한 금융’ 등 나머지 4개 중대 주제를 충실히 담아냈다. ‘환경경영, 인권경영, 지역사회 참여, 건전한 지배구조’ 등 4개 일반주제 부문에서도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했다.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은 “지속가능성의 본질은 서로가 조화롭게 공존하고 상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며 “KB금융그룹은 긍정적 영향력을 토대로 고객과 사회의 행복,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세상을 바꾸는 금융’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 국제 보고 기준인 ‘GRI Standards 2021’,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ISSB의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 SASB의 보고원칙’ 등 글로벌 공시기준에 따라 작성됐다.

지난 2021년부터 KB금융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가 디지털 형태로 발간되는 만큼 이번 보고서도 KB금융그룹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KB금융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경영을 활발히 펼쳐 다양성 확대 전략 ‘KB Diversity 2027’ 로드맵에 따라 ‘다름을 경쟁력’으로 다지고 있다. 

또 오는 2030년까지 ESG금융 50조원을 목표로 잡은 ‘KB GreenWave 2030’ 전략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중장기 탄소중립 전략 ‘KB Net Zero S.T.A.R.’를 토대로 그룹 자체 탄소배출량 감축 노력 및 거래 기업들의 저탄소 전환을 위한 지원 활동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더불어 사회·국민과 동반 성장을 위한 사회적 책임 활동에도 앞장서고 있다. 범국가적 ‘저출생 문제’ 완화를 위해 교육부와 협력해 ‘늘봄학교 및 온종일 돌봄체계 확대’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함은 물론 소상공인 자생력 강화 지원, ‘KB굿잡 취업박람회’를 통한 일자리 창출 지원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 적극 기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