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에스엠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며 강세를 연출하고 있다. 중국 1위 금 생산업체인 쯔진마이닝그룹(Zijin Mining Group)이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에 소유한 구리 광산의 생산을 중단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최초로 구리대체 소재 탄소와이어를 에스플러스 컴텍과 개발 중인 신진에스엠이 주목을 받는 모습이다.

22일 주식시장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쯔진마이닝그룹이 소유한 민주콩고 코뮤스(COMMUS) 구리 광산 프로젝트는 고농도 방사능 검출 가능성이 제기되며 생산 중단을 결정했다.

민주콩고 정부는 코뮤스 구리 광산에서 채굴된 코발트에서 고농도 방사능이 발생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코뮤스 지난해 약 12만9000t의 구리를 생산했다. 코발트 생산량은 2200t에 달했다. 민주콩고 정부는 코뮤스 광산의 생산 중단 과정을 감독 중인 가운데 수출 중단 결정 후 반송된 코발트 선적을 테스트 하고 있다.

코뮤스 광산은 루알라바 주의 콜웨지 광산 허브에 위치하고 있으며 쯔진마이닝그룹이 72%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나머지 지분은 민주콩고 국영기업 게카마인스(Gecamines)가 갖고 있다.

쯔진마이닝그룹은 콩고 최대 구리 프로젝트인 아이반호 마인즈(Ivanhoe Mines)의 카모아-카쿨라(Kamoa-Kakula)에 대한 지분도 확보하고 있다.

코뮤스 광산이 생산 중단에 돌입하면서 1년만에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구리 가격도 상승 압박이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12일 오후 런던 금속거래소(LME) 기준 구리 가격은 1t당 9457.5달러(약 130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1년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탄소와이어는 구리에 비해 재료비를 30% 절감 하고, 무게를 5분의 1수준으로 경량화하면서도 구리전선에 준하는 저저항 전선 제조가 가능하다.

이날 신진에스엠의 주가도 구리가격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구리대체제에 따른 투자자들의 매수심리가 작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