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발 호재에 관심 집중
"목표주가 8만7000원에서 10만원으로 상향 조정"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서 작업자가 웨이퍼 원판 위 회로를 만드는 데 쓰이는 기판인 포토마스크를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삼성전자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03/202685_203339_723.jpg)
삼성전자가 2년 3개월만에 장중 8만원을 돌파했다. 지난 2021년 12월 29일(8만200원) 이후 약 2년 3개월 만이다. 메모리 반도체 업황 개선과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 차세대 엔비디아발 고대역폭메모리(HBM) 채택 기대감이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26일 코스피 시장에 따르면 오전 10시19분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1900원(2.43%) 상승한 8만100원을 터치했다. 최근 삼성전자는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주가가 장중 7만9900원까지 뛰었지만 8만원을 돌파하는데는 번번이 실패한 바 있다. 다만 11시 현재는 다시 300원 하락한 7만9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 주자인 미국의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삼성전자의 HBM3E을 현재 테스트하고 있다"는 발언에 기대감이 커지면서 삼성전자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집중됐다. 엔비디아가 삼성전자의 HBM을 두고 직접 테스트 여부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엔비디아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03/202685_203340_737.jpg)
현재 세계 HBM 시장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양분한 상태로 미국 마이크론의 점유율은 미미하다. 엔비디아가 글로벌 HBM 시장을 이끄는 한국 기업을 선점할 경우 생성형 AI 시장에서 경쟁력 더욱 막강해 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HBM3E는 AI 서버용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HBM의 5세대 제품으로,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샘플을 제출해 검증 절차를 받고 있다.
서승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3조4000억원과 5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 77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는 시장 예상치를 3%, 8% 상회한 수치"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하반기 삼성전자는 대형 AI 반도체 고객사향 HBM 진입과 차세대 AI 반도체 파운드리 수주가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8만7000원에서 10만원으로 상향 조정한다"고 말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이 경기도 삼성전자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열린 삼성전자 창립 54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03/202685_203341_752.jpg)
한편, 지난 20일 삼성전자는 주주총회를 열고 반도체 시설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발표했다. 연구 인력과 R&D 웨이퍼 투입을 늘려 양적·질적 측면에서 반도체 연구소를 2배로 키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계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 부문장(사장)은 "삼성전자 DS부문은 V낸드, 로직 핀펫(FinFET), 게이트올어라운드(GAA) 등 초일류 기술을 통해 미세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업계 내 독보적 경쟁력을 갖춰 왔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기술을 선행해서 도전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는 2030년까지 기흥 R&D 단지에 20조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도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면서 미래 핵심 키워드인 AI, 고객 경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측면의 혁신을 이어가고, 다양한 신제품과 신사업,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조기에 발굴할 수 있는 조직과 추진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주총에서 강조했다.
[특징주] 케이사인 자회사, 마이크로소프트와 AI사이버보안 기술 개발 '맞손' 소식에 최대주주↑
[특징주] 비올, 미국서 독보적 기술 중국까지 성과 가시권…양날개 단 성장세 기대감
[종목이슈] 부광약품, 500억 규모 자사주 소각에 급등세
[특징주] 선익시스템, 中BOE 애플向 OLED 패널 단독 공급사 선점 유력…핵심 증착장비 공급사 주목
[특징주] 박셀바이오, 업계 최초 난치성 다발공수종 치료제 글로벌 권리 선점…국제 특허 출원↑
[특징주] 바이오톡스텍, 치매치료제 AR1001 中 제약사와 최대 1조원대 독점판매권 계약에 수혜주 부각…공동개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