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전경. [한국거래소 제공]
한국거래소 전경. [한국거래소 제공]

'기업 밸류업 자문단'을 이끌 위원장에 조명현 고려대학교 교수가 추대됐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2월 유관기관 합동으로 발표한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의 후속 조치로서 '기업 밸류업 자문단'을 구성하고 킥 오프(Kick-off) 회의를 개최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현장에 답이 있다'는 판단하에 다양한 시장참여자와의 상시 소통을 위해 자문단을 구성했다"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차질 없이 추진해 우리 자본시장의 실질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도록 중·장기 관점에서 지켜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 밸류업 자문단'은 학계 3인, 투자자 4인, 기업‧유관기관 4인, 한국거래소 1인 총 12인으로 구성됐다. 고려대 조명현 교수를 위원장으로 추대했다. 매월 1~2차례 정기 회의를 개최해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의 세부 추진 과정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로서 자문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조 교수는 "자문위원들의 적극적 의견 개진을 당부한다"며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의 지속적 평가‧개선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의 주요 내용과 향후 자문단 운영 방향 등을 논의했다. 가이드라인 제정에 대한 시장의 관심과 기대가 큰 만큼 자문단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가이드라인 제정작업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307만 구독자를 보유한 경제·금융 SNS 채널을 운영 중인 슈카월드의 슈카(전석재)도 회의에 특별 참석했다. 

하진수 JP모건 전무는 “일선에서 느끼기에 해외 투자자들의 한국 주식시장의 주주가치 존중 문화 확산에 대한 관심과 기대감이 매우 높다"며 "이러한 분위기가 실제 투자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기업 문화로 정착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준비 단계인 올해 상반기에는 시장참여자 의견을 수렴·반영하여 상장기업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다양한 지원 방안의 구체화 작업을 지원한다.

이후 하반기부터는 상장법인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모니터링하며 밸류업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검토한다. 우수기업 선정 기준을 마련하며 코리아 밸류업 지수와 ETF 개발 과정에서도 각계를 대표해 자문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김춘 상장회사협의회 본부장은 “상장기업의 자발적인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제재보다는 실효성 있는 인센티브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기업 참여 독려가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국거래소는 향후 '기업 밸류업 자문단'을 운영함과 동시에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에 대한 기업의 이해도 제고와 의견 수렴을 위해 상장기업 대상 간담회도 개최해 나간다.

유가·코스닥 상장법인을 기업규모별로 나누어 대표·중견·성장기업 간담회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에도 지역기업들을 위한 지역별 릴레이 설명회도 열어 기업들의 생생한 현장의견을 청취한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