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조합 고유 권한 무시하고 '마감재 기준 삭제' 요구…조합원 '분노'
"압구정2구역은 되고 성수는 안 되나"… 명백한 '차별'에 '고의 지연' 의혹까지
비대위, 현대건설 무리수엔 '침묵'하고 경쟁사엔 '비방'… '맹목적 비호' 눈살
![현대건설이 성수1지구 조합의 마감 기준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한 공문. [조합원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511/238472_277814_555.png)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지로 꼽히는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이하 성수1지구)에서 현대건설이 조합원들의 자산 가치와 직결된 '마감재 최소 기준 삭제'를 요구하는 등 무리한 행보를 이어가며 '대기업 갑질'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현대건설이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와 보조를 맞춰 고의적으로 사업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조합의 고유 권한을 침해하는 거대 건설사의 횡포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성수1지구 조합은 최근 '경쟁입찰 성사'라는 대의를 위해 과거 대의원회에서 부결됐던 안건까지 수용하며 입찰 지침을 변경하는 전향적인 결단을 내렸다. 이는 유찰을 막고 공정한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조합의 고육지책이었다.
그러나 현대건설은 이러한 조합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었다. 지난 10일 열린 시공사 간담회에서 현대건설은 조합의 공식 회의록 서명을 거부하며 기본적인 절차조차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심지어 지난 13일에는 '추가 공문'을 보내, 조합이 이미 수용한 안건 외에 '책임준공' 조항의 추가 완화는 물론, '마감재 기준 삭제'까지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조합이 판을 깔아줬음에도 불구하고, 입찰 참여 확약은커녕 마감재 기준까지 없애달라는 것은 전형적인 '대기업의 갑질'"이라며 "사업 참여 의지보다 조합 길들이기에 몰두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조합원들의 공분을 가장 크게 산 것은 현대건설의 '이중적 태도'다.
현대건설이 삭제를 요구한 '마감재 상위 스펙 제시 의무(공문 4번 항목)' 조항은 현대건설이 이미 수주한 '압구정 2구역'의 입찰 지침서에도 동일하게 존재하는 조항인 것으로 확인됐다.
압구정 2구역에서는 문제없이 수용했던 조항을 성수1지구에서만 거부하는 행태에 대해, 조합원들은 "성수1지구를 압구정보다 한 수 아래로 보고 차별하는 것 아니냐"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조합원은 "압구정 2구역보다 좋지 않은 조건으로 들어오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며 "동일한 기준을 두고 지역에 따라 말을 바꾸는 건설사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나"라고 성토했다.
이 과정에서 보여준 비대위의 이중적인 행태 또한 도마 위에 올랐다.
과거 '마감재 품질 저하'를 이유로 조합장을 고발까지 했던 비대위가, 정작 자신들이 지지하는 현대건설이 공식적으로 '마감재 기준 삭제(하향)'를 요구하자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비대위는 회의록 서명을 거부한 현대건설의 행태는 두둔하면서, 조합의 절차를 준수해 서명한 GS건설을 향해서는 "수의계약을 유도한다"는 식의 비방을 쏟아내고 있다.
이에 대해 대다수 조합원은 "조합원 이익을 대변한다던 비대위가, 조합원 자산을 깎아먹으려는 특정 건설사의 대변인 노릇을 하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대건설과 비대위가 손잡고 고의적으로 사업을 지연시켜, 조합 집행부를 교체하고 판을 새로 짜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비대위가 제기한 수백 건의 민원에 따른 서울시 실태조사 결과, '조합 운영 특이사항 없음'으로 결론 나며 조합의 정당성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조합 측은 "비대위의 흠집 내기와 특정 건설사의 도를 넘은 갑질 행태가 사업 지연을 노린 명백한 방해 공작임이 드러났다"며 "더 이상 외부 세력의 흔들기에 굴하지 않고, 조합원들이 염원하는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남은 입찰 절차를 원칙대로 완수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