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법인 경쟁력ㆍ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 증가…국내 부문은 수익성 하락

세아제강지주가 글로벌 철강 시황 악화와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서도 미국 현지 법인(SSA, SSUSA)의 오일 & 가스 향(向) 에너지용 강관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세아제강지주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231억원, 영업이익 398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7.3% 늘었고 영업이익은 105.2% 증가한 수치다.
세아제강지주 측은 해외 법인(이녹스텍, SSUAE)의 중동 지역 프로젝트 공급 물량 확대와 미국, 베트남, 중동 생산 법인의 안정적 글로벌 유통·공급망 전략에 힙입어 전년 동기 대비 견조한 실적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내 건설 경기 침체 장기화와 대미 수출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국내 부문의 수익성은 하락했다.
별도기준 세아제강의 올해 3분기 실적은 부진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17.9%줄었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돌아섰다.
계절적 비수기와 건설 등 전방산업 침체 장기화에 따른 수요 위축, 원재료 가격 상승, 미국 철강 관세 부담 가중으로 인한 수출 제품 수익성 감소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했다.
세아제강 측은 올해 4분기 전통적 오일&가스 시장의 계절적 성수기 진입, 제품 차별화 노력 및 친환경 에너지(LNG, 해상풍력, CCUS, 수소 등)향 고부가가치 강관 판매 확대 추진을 통해 실적 개선을 기대했다.
세아제강지주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대미 수출 관세 강화에 대응해 미국 현지 법인의 생산·판매 비중을 확대하고, 미국 오일&가스 시장 내 가격 경쟁력과 안정적 수익 기반을 확보해 실적개선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또한 국제 유가 하락 압력에 따른 오일&가스 향(向) 에너지용 강관 시장 수요 위축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철강 경기 둔화 속에서 중동 등 프로젝트 중심의 고부가가치 제품 공급 전략 강화를 통한 수출 경쟁력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해상풍력·CCUS·수소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시장의 제품 차별화에 집중하고 국내외 생산법인 간 협력을 강화해 친환경 에너지 프로젝트 공급을 확대키로 했다. 이를 통해 탄소중립 시대의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와 친환경 에너지 시장 내 확고한 입지를 선점한다는 목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