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정 '고령친화우수식품' 국내 최다 출시
국내 유일 1~3단계 전제품군 제조 역량 보유
연화식 제조 설비 투자·병원 등 협업 성과
도시락형 제품 개발도 추진

현대그린푸드가 운영하는 고령친화우수식품 대표 제품 이미지 [현대그린푸드 제공]
현대그린푸드가 운영하는 고령친화우수식품 대표 제품 이미지 [현대그린푸드 제공]

케어푸드 절대 강자 현대그린푸드가 치아 건강이 좋지 않은 고령자를 위한 전문 식품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국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절반가량이 틀니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잇몸, 혀로 섭취가 가능한 부드러운 음식인 '고령친화우수식품'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4일 현대백화점그룹에 따르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는 국내 식품업계 최다인 16종의 고령친화우수식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국내에서 정부 지정을 받은 고령친화우수식품이 총 85종인 것을 감안하면, 전체의 20% 가까이가 현대그린푸드 제품인 셈이다.

고령친화우수식품은 고령자의 식품 섭취와 소화·흡수를 돕기 위해 물성, 형태, 영양성분 등을 조절해 제조·가공한 식품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가 주관하며 1단계, 2단계, 3단계로 구분된다. 모든 단계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곳은 국내에서 현대그린푸드가 유일하다.

현대그린푸드는 1단계 6종, 2단계 7종, 3단계 3종을 판매 중이다.

특히 현대그린푸드는 생산이 가장 까다로운 2단계 제품군에 차별화된 역량을 보유했다. 국내 지정 2단계 제품 8종 중 7종을 생산한다. 2단계 제품은 물성 조절이 까다로워 전문성이 필요하다. 장조림, 함박스테이크 등 육류를 잇몸으로 먹을 수 있게 제조해 판매하는 곳도 현대그린푸드가 유일하다.

이는 2020년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운영 중인 케어푸드 전문 제조시설 '스마트 푸드센터'가 원동력이 됐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스마트 푸드센터의 '포화증기오븐'으로 식재료의 원형은 유지하면서 잇몸으로도 부서질 정도로 부드럽게 조리 가능하다"며 "고령자들이 더 다양한 음식을 만족스럽게 즐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냉동 설비인 '터널프리저'로 조리된 음식을 급냉시켜 영양분 손실과 맛, 식감 변화를 최소화했다.

병원, 대학과의 협업 연구도 전문성을 끌어올렸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아산병원, 이화여대와 농축산부 주관 정부 과제를 수행, '사회 문제 해결 우수 R&D' 사례로 선정됐다. 국내 식품업계에서 병원과 협업해 고령친화우수식품을 개발한 곳은 현대그린푸드뿐이다.

현대그린푸드는 업계 최초로 도시락 형태의 고령친화우수식품도 선보일 계획이다.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이며 3년 내 제품 수를 30종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치아 건강이 취약한 고령층의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위해 고령친화우수식품 개발이 꼭 필요하다"며 "다양한 연령층과 라이프스타일별 최적의 먹거리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