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매출 17조2610억원, 전년 대비 5.8% 감소
철강부문, 포스코 별도 기준 영업이익률 6%대 기록
원가 구조 개선 등 철강사업 본원경쟁력 회복 지속
이차전지소재 부문 적자 폭 축소…양극재 판매 증가
포스코인터내셔널 발전사업 수익 호조
포스코이앤씨, 일회성 손실 반영으로 실적 하락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3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5% 감소했다고 27일 공시했다. 다만 직전 분기(2분기) 대비로는 영업이익이 약 320억원 증가해 철강사업의 실적 회복세가 뚜렸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증권가 기대치를 종합해 집계한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6176억원)도 214억원가량 상회했다.
3분기 매출액은 17조2600억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3870억원을 달성했다.
회사 관계자는 "전 세계 주요 시장에서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경영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도 철강사업의 실적 회복에 힘입어 3분기 연속 연결 영업이익 개선을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특히 철강사업은 지난해 4분기 저점 이후 3분기 연속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개선되는 추세다. 이번 분기는 철강제품 판매가 하락으로 전 분기 대비 매출액은 소폭 줄었지만, 가동률 회복과 함께 지속적인 원가 경쟁력 강화 노력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포스코(별도 기준)의 경우 3분기 영업이익이 5850억원, 영업이익률 6.6%를 기록하는 등 수익성을 지속 강화해 나가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서 제조 설비를 가동하고 있는 모습. [포스코퓨처엠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510/235589_244742_15.jpg)
이차전지소재 사업은 양극재 판매량 증가와 리튬 가격 상승에 따른 재고 평가손실 환입 등으로 3분기 적자 폭이 축소됐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6월 준공한 전구체 공장의 본격 가동에 따른 양극재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전 분기 대비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흑자로 전환했다.
인프라 사업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하절기 전력 수요 증가에 따른 발전사업 수익 호조와 호주 세넥스 가스전 판매량 증가로 견조한 이익을 유지한 가운데, 포스코이앤씨는 신안산선 사고 손실 추정액의 실적 반영과 안전 점검을 위한 전 공사 현장 일시 중단에 따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이날 포스코홀딩스는 지난해부터 진행하고 있는 저수익·비핵심자산 구조개편 성과도 설명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3분기 총 7건의 구조 개편을 통해 약 4000억원의 현금을 창출했다.
아울러 오는 2027년까지 총 63건의 추가적인 구조개 편을 통해 1.2조원의 현금을 추가 창출하고 그룹의 재무 건전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