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 경제협력위원회 합동회의 주재
양국 정·재계 인사들과 협력 방안 폭 넓게 논의
"안전·상생까지 미래지향적 관계로 나아가는 새로운 장 도약"
핵심광물, AI 생태계 협력, 산업안전, 재난 대응 등 협력 논의

17일 열린 ‘제46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합동회의‘에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17일 열린 ‘제46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합동회의‘에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한국과 호주의 경제 협력의 상징이자 양국 산업 교류를 견인해 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한·호 경협위)의 제46차 합동회의가 17일 여의도 FKI타워에서 개최됐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한국측 위원장 자격으로 합동 회의에 참석했으며, '한국·호주의 산업·혁신·지속가능성 강화 방안'을 주제로 핵심 광물, 청정 에너지뿐 아니라 안전, 재해까지 양국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협력 방안을 폭넓게 논의하고 연대를 다졌다.

합동 회의에는 마틴 퍼거슨(Martin Ferguson) 한·호 경협위(AKBC, Australia-Korea Business Council) 위원장을 비롯해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 제프 로빈슨(Jeff Robinson) 주한호주대사 등 양국 정·재계 인사 약 200여명이 참석했다.

장 회장은 "양국이 경제산업 투자 확대를 넘어 지역 상생과 산업 안전, 재난 대응까지 핵심 협력 분야의 외연을 넓히고 연대를 강화해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해법을 함께 모색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17일 여의도 FKI타워에서 ‘제46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합동회의‘가 개최됐다. 사진 왼쪽 세번째 부터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 제프 로빈슨 주한호주대사,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마틴 퍼거슨 AKBC 위원장,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 [포스코 제공]
17일 여의도 FKI타워에서 ‘제46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합동회의‘가 개최됐다. 사진 왼쪽 세번째 부터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 제프 로빈슨 주한호주대사,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마틴 퍼거슨 AKBC 위원장,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 [포스코 제공]

올해 합동 회의에서는 핵심 광물 공급망, 청정 에너지, 인공지능(AI) 생태계 혁신을 비롯해 산업 안전과 재난 대응 등 5개 분야의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AI 기반의 산업 안전과 재난 대응'을 특별 의제로 상정해 새로운 협력 모델을 모색하는 등 양국 협력 분야의 외연을 한층 확대했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산업 안전과 재난 대응 세션에서 관련 역량 강화를 위한 신규 사회공헌 사업 계획을 소개했다. 포스코그룹은 대형 산불 극복 경험이 있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선진 재난 대응체계와 축적된 노하우를 벤치마킹해 전국재해구호협회와 함께 자연재해 발생 때 지역 주민들이 신속·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 상황 모의훈련, 대피시설 개선, 소방장비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핵심 광물 공급망 세션에서는 호주 리튬 광석 원료를 국내로 들여와 이차전지 소재용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과 포스코그룹의 첫 해외 자원 전문 연구소인 '호주핵심자원연구소' 활동 등 양국의 성공적인 협업 사례를 공유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1970년대 초 철광석 구매를 시작으로 리튬 등 핵심 광물 공급망의 중요한 파트너 국가인 호주와 자원 개발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포스코는 매년 약 70억 달러 이상의 철강 원료를 호주에서 구매하고 있는데, 이는 총 원료 구매량의 70%에 달한다. 또한 안정적인 철강원료 조달을 위해 호주 로이힐 철광석 광산 개발에 참여했으며, 탄소저감 철강 원료인 HBI를 생산하기 위한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2년 호주 세넥스에너지를 인수해 천연가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