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도 풍랑 속에서 중심 잡고 방파제 역할 다할 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 1층 대강당에서 열린 한국은행 2025년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 1층 대강당에서 열린 한국은행 2025년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일 "최상목 권한대행께서 대외 신인도 하락과 국정 공백 상황을 막기 위해 정치보다는 경제를 고려해서 어렵지만 불가피한 결정을 했다"며 "이 과정에서 한국은행도 풍랑 속에서 중심을 잡고 정부 정책에 조언하며 대외 신인도를 지켜내는 방파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신년사 이후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최상목 권한대행은 우리 경제 시스템이 정치 프로세스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할 것임을 대내외에 알리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운을 띄었다.

이어 "한국 경제는 튼튼하다는 메시지를 내려고 하는데, 책임 있는 사람들이 비난하면 그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하겠냐"며 "고민 좀 하고 이야기했으면 좋겠다"고 역설했다. 

앞서 이 총재가 기자실을 방문하기 전 한국은행에서 공식적으로 보도한 신년사 내용보다 강력하게 입장을 내비친 것이다. 그는 신년사에서 "올해 우리 앞에 놓여진 환경은 절대 녹록지 않다"며 "그러나 과거에 그래왔던 것처럼 우리는 이번에도 잘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총재는 최 권한대행을 적극 지지하는 이유에 대해 "해외에서 보는 시각과 외환·금융시장의 단기적으로 대응해서 안정시킨 점"이라며 "몇 개월이 될지 모르겠지만 힘을 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는 일이 되게끔 기재부가 각 부처를 통괄해서 경제 정책을 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구도가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난하더라도 대안을 내야하고, 탄핵 위협에서도 정부가 정상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제 탄핵은 더 없다는 모습과 경제만큼은 정치 프로세스에 분리돼서 간다는 로직, 여야정 협의회에서 협의되는 모습 등을 빨리 보여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