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앤엠 사태, MBK '실패 경영'의 전형?… 하청업체 무더기 해고
외주화·해고 병행했지만 기업 가치 외려 악화, 디폴트 위기 속 채권단 품에
단기 이익 추구하는 MBK… 고려아연 인수 시도, 산업 생태계 위협

고려아연 인수를 추진하는 MBK파트너스의 과거 경영 실패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2조 2000억원 들여 인수했지만 채권단 손에 넘어간 케이블TV 씨앤엠(C&M) 사례다.
MBK파트너스는 최근 기자 회견을 열고 '거버넌스 개선'과 '주주가치 보호' 등을 내세우며 고려아연 인수에 대한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산업계는 MBK가 과거 씨앤엠(C&M) 인수 이후 대규모 정리해고와 노동 탄압으로 시끄러웠던 점을 들어 고려아연 인수 뒤 같은 문제가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당시 상황을 살펴보면 MBK는 2008년 씨앤엠(C&M)을 인수하며 국내 케이블TV 시장에 진출했다. MBK는 "고용을 유지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노사 간 상생까지 내세웠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고용 효율화'라는 명목 아래 AS와 설비 분야를 하청 구조로 전환했다.
특히 고용 유지 기간 3년이 끝난 2011년부터 대규모 구조조정과 비용 감축이 진행됐고, 하청 노동자들의 근로 환경은 급속도로 악화됐다는 것이 당시 근로자들 주장이다.
씨앤엠(C&M)은 하청업체와 노사 상생 및 고용 승계를 보장하기로 협의하고 당시 대표가 직접 서명까지 했으나, 이 약속은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폐기됐다. 이후 AS 하청 노동자들은 업무 진행에 필요한 설비 자재비, 기름값 등을 모두 개인이 충당하는 등 열악한 고용 조건에 내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에는 매각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비정규직 노동자 약 15%에 해당하는 109명이 해고됐다. 사측은 경영 효율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매각 가치를 높이기 위한 비용 절감 차원으로 보고 있다.
씨앤엠(C&M) 노조는 수개월에 걸친 파업과 집회를 진행했으나, 사측은 끝까지 협상에 응하지 않았다.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도 MBK의 씨앤엠(C&M) 매각 시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경영 실패가 이어지면서 MBK가 씨앤엠(C&M) 인수와 운영을 위해 만든 KCI는 사실상 디폴트 상황까지 몰렸고, 결국 채권단 손에 넘어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MBK의 케이블TV 인수와 경영 실패는 궁극적으로 방송 산업 생태계까지 교란하는 부작용을 초래했다. 씨앤엠(C&M)은 시장 점유율 하락은 물론 브랜드 신뢰도 역시 악화됐다. 이에 국가기간산업이자 씨앤엠(C&M)보다 매출 규모가 수십배 큰 고려아연을 인수해 제대로 경영할 수 있을지를 두고 회의적 시각이 커지고 있다.
특히 비용 합리화를 목표로 구조조정과 해고 등 노동 문제가 발생할 경우 상황이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장치 산업 특성상 며칠간이라도 파업이 발생하면 적게는 몇 주에서 한 달 이상 조업이 중단되는 등 사업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서다.
재계 관계자는 "고려아연은 단순한 제조업체가 아니라 국가기간산업으로서 전후방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며 "MBK처럼 단기적 수익을 추구하는 사모펀드가 경영할 경우 기업 경쟁력은 물론 산업계에 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