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인뱅 3사 주담대 잔액 34조4000억원
낮은 금리와 편의성 앞세운 영향…"포용적 금융 목표와 상이"

(왼쪽부터) 서울 을지로 케이뱅크 본사, 경기도 성남 카카오뱅크 본사, 서울 강남구 토스뱅크 본사.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제공]
(왼쪽부터) 서울 을지로 케이뱅크 본사, 경기도 성남 카카오뱅크 본사, 서울 강남구 토스뱅크 본사.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제공]

최근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주택담보 대출도 1년 사이 11조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주택담보대출(전월세대출 포함) 잔액은 34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47%(약 11조원) 증가한 금액이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지난 8월 케이뱅크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전년 대비 87.8% 오른 7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도 전년 대비 29% 증가한 24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9월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출시한 이후 올해 8월 잔액이 1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러한 증가세는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ㆍ농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전년 대비 10.4%(568조7000억원) 늘어난 것보다 훨씬 가파른 수치다. 전체 은행권의 주담대는 714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8.9% 증가했다.

올해 들어 시작된 주택담보대출ㆍ전세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서비스에서 낮은 금리와 편의성을 앞세운 인터넷은행이 선전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 의원은 "인터넷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을 급격히 늘리는 것은 포용적 금융을 목표로 한 설립 취지와 맞지 않다"며 "급격한 대출 증가가 가계부채의 질을 악화시키고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