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케이락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1, 2위인 대만의 TSMC와 삼성전자가 아랍에미리트(UAE)에 134조 규모의 대형 반도체 제조공장을 건립하는 방안을 UAE 정부와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디케이락은 반도체, 조선, 해양 플랜트, 원자력, 화력, 수력 발전설비, CNG 및 수소용 자동차 산업, 해외 정유시설 등과 같은 대형 플랜트 시설에 사용하는 피팅밸브를 제조하는 사업을 영위 중이다. UAE 국영기업과 대형 밸브 공급계약을 맺은 사실이 있다.

23일 주식시장과 외신보도에 따르면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1, 2위인 대만의 TSMC와 삼성전자가 아랍에미리트(UAE)에 대형 반도체 제조공장을 건립하는 방안을 UAE 측과 각각 논의했다고 전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달 22일 "TSMC의 최고 경영진과 삼성전자 고위 경영진이 최근 UAE를 방문해 칩 제조 작업을 위한 공장 설립 관련 논의를 했다"면서 "여러 개의 공장이 들어설 수 있는 복합 단지가 포함되는 이번 프로젝트의 총 비용은 1000억달러(약133조6000억원)가 넘는다"고 전했다. 

프로젝트 자금은 UAE 국부펀드인 무바달라가 중심이 되어 UAE 측이 대는 방안이 초기 논의 과정에서 검토됐다. 무바달라는 작년 말 기준으로 투자자산 규모가 3000억달러(약 400조원)에 달하는 대형 국부펀드다.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글로벌 칩 생산량을 늘리고 칩 제조업체의 수익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칩 가격을 낮추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필요한 다량의 초정수 공급이 하나의 장애물로 꼽히며 UAE가 보유한 수자원 대부분은 담수화를 통해 생산돼 이 과정에서 사용하려면 상당한 정화 과정이 수반돼야 한다. 반도체 제조 공급망이 거의 없는 UAE에 유능한 인재를 파견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TSMC와 삼성은 중국으로 첨단 반도체를 수출할 가능성과 관련해 미국 정부 관계자와 이미 의견을 주고받았다. 양측은 아직 세부 사항을 결정하지는 않았지만 UAE 공장에서 생산되는 반도체 제조·선적 과정을 미국 정부가 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이 논의됐다.

이에 디케이락은 UAE 국영기업에 초대형 플랜트 밸브를 공급하는 중으로, TSMC와 삼성전자가 UAE 정부와 공동으로 반도체공장을 설립시 반도체 플랜트용 밸브수요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