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형태로 선불충전금 관리…피해 크게 확산되진 않을 것”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티몬·위메프 사태와 관련해 검사반을 급파해 현장점검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사실 확인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자료 이미지 [금융감독원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티몬·위메프 사태와 관련해 검사반을 급파해 현장점검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사실 확인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자료 이미지 [금융감독원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5일 티몬·위메프 사태와 관련해 검사반을 급파해 현장점검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사실 확인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날 업무보고를 위해 국회 정무위에 참석한 이복현 원장은 “오늘 티몬·위메프에 검사인력 6명으로 구성된 검사반을 내보내서 현장점검 중”이며 “업체에서 보고한 내용이 숫자가 적정한지, 구체적인 실재성 등에 대해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 원장에게 티몬·위메프 사태가 심각한 소비자 불안과 피해를 촉발해 ‘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가 재현되는 것이 아니냐고 질의했다. 전자금융거래법상 선불충전금을 별도 관리해야 하는데 확인했느냐는 질문도 이어졌다.

이 원장은 “관련 법령은 오는 9월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그 이전에는 지도 형태로 관리하고 있다”며 “그 부분에 대해 소비자 피해가 크게 확산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

큐텐에서 판매자 정산을 지연하는 것이 1년 전부터 있었는데 금감원의 점검이 늦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이복현 원장은 “2022년 6월부터 이커머스업계의 경쟁 심화로 자본비율이 나빠져 경영 재무상황 악화와 관련해 경영개선협약 맺어서 관리해왔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이어 “지금 문제가 되는 입점업체(판매자) 정산지연 문제는 이달부터 구체적으로 관리해왔다”며 “업체간 협약에 따른 정산기간 연장은 정상적으로 됐던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협약이 없는 형태에서 발생한 정산 지연은 7월부터 발생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이 머지포인트 사태 때 재발 방지를 약속한 금감원이 이번 티몬 ·위메프 사태에 책임이 있다고 질타하자 이 원장은 “이유를 막론하고 국민들에게 부담을 주고 걱정을 끼쳐 사과를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는 또 “실태 파악을 위해 검사반을 보냈고 책임 여하를 떠나서 피해를 최소화하고 정상으로 복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제도개선 역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재섭 의원이 이커머스업체의 정산주기 관련 규제가 부족하다고 지적하자 이 원장은 “정산 시기나 정산금 복원방법은 문제점과 제도상 미비한 점이 있어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되 그 전이라도 자율협약 형태로 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도 잘 챙겨 보겠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