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이랩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오름세를 기록 중이다. 미국 바이든 정부가 기후 과학, 의료 그리고 사이버 보안 분야의 생성형 AI를 구현하기 위해 엔비디아 DGX SUPER POD을 채택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씨이랩은 엔비디아의 우선 파트너로 딥러닝 모델 훈련시 사용할 수 있는 합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솔루션을 개발했으며, 엔비디아 제품군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개발해 기업들에 공급하고 있다.
9일 주식시장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기후 과학, 의료 그리고 사이버 보안 분야의 생성형 AI를 구현하기 위해 엔비디아 DGX 슈퍼POD을 채택했다. 이 생성형 AI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AI 관련 행정명령을 지원한다.
지난 10월 발표된 이 행정명령은 미국의 AI 리더십 보장과 위험 관리를 목표로 한다. 마이터는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아 연구 개발 센터를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로 연구자와 개발자에게 대규모 컴퓨팅 도약의 기회를 제공할 새로운 엔비디아 DGX 슈퍼POD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DGX 슈퍼POD은 마이터의 연방 AI 샌드박스를 지원한다. 이는 차세대 AI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실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미국 연방 정부 기관 전반을 대상으로 한다.
찰스 클랜시(Charles Clancy) 마이터 수석 부사장 겸 최고 기술 책임자는 "AI에 관한 최근 행정명령은 연방 정부 기관이 AI 도입의 장벽을 낮추도록 장려하고 있다"며 "하지만 대부분의 기관에는 실험과 프로토타입 제작에 필요한 컴퓨팅 환경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마이터의 새로운 연방 AI 샌드박스는 모든 기관에 맞춤형 AI 솔루션 훈련과 테스트에 필요한 고품질 컴퓨팅 성능을 제공해 공평한 경쟁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방 AI 샌드박스는 연방 정부 기관에 거대 언어 모델과 기타 생성형 AI 도구를 훈련해 최첨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성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엔비디아의 우선 파트너 자격을 획득하고 AI 학습에 필요한 합성데이터를 자동 생성하는 솔루션 '엑스젠(X-GEN)'과 GPU 효율을 높여주는 '아스트라고(astrago)'를 개발한 씨이랩이 주목을 받는 모습이다.
씨이랩이 개발한 '엑스젠'은 딥러닝 모델 훈련시 사용할 수 있는 합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솔루션이다. 국방과 군 분야처럼 실제 데이터 수집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한 경우 실제와 동일한 가상환경을 구현, AI 학습을 가능토록 한다. 또 다른 주목 제품인 '아스트라고'는 AI프로젝트 진행시 딥러닝 학습시간을 예측해 AI에 필요한 GPU 자원 배분과 관리를 최적화해준다.
특히 아스트라고 같은 경우는 엔비디아 제품군을 포함해 HPE, 델(DELL) 등과 같은 글로벌 인프라 제조사 제품군에도 최적화했고 높은 호환성도 갖췄다는 평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