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 저커버그 CEO 방한 수혜주로 삼성전자 등 8개기업 추천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 방한에 따른 수혜주로 삼성전자를 비롯해 LG전자, LG이노텍 등이 제시됐다. 저커버그 CEO는 지난달 27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방한해 윤석열 대통령뿐 아니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 등 업계 관계자를 잇달아 만나 미래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보고서를 내고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방한에 따른 수혜주로 삼성전자 등 8개 종목을 추천했다.
저커버그 CEO는 지난달 27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방한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 등 업계 관계자를 잇달아 만나 AI(인공지능)와 XR(확장현실) 등 미래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보고서는 "저커버그 CEO가 약 10년 만에 방한했다"며 "메타는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한 "메타가 개발 중인 LLM(대규모 언어 모델) '라마3'를 구동하는 데 필요한 AI 반도체를 삼성 파운드리에서 공급받는 것을 협력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보고서는 "LG전자와는 XR 기기 협업의 사업 전략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XR 기기 테마로 패널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PPI(1인치당 픽셀 수) 상승을 통해 더 현실감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OLEDoS(마이크로 유기발광다이오드)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혜 기업으로 삼성전자와 이오테크닉스(반도체 레이저 마커와 레이저 응용기기 제조기업), 솔브레인(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소재기업)을 제시했다.
LG전자와 카메라 모듈, 반도체 기판소재 기업인 LG이노텍, OLEDoS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LG디스플레이, 3D 센싱 카메라 기술을 보유한 나무가, OLED 증착장비 제조 및 판매 기업인 선익시스템도 수혜주로 분류했다.
저커버그 CEO는 지난달 27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방한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 등과 만나 인공지능(AI)과 확장현실(XR) 등 미래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달 29일 윤석열 대통령은 저커버그 CEO를 용산 대통령실에서 30분간 접견했다. 성태윤 정책실장은 윤 대통령과 저커버그 CEO가 AI 디지털 생태계 조성을 위한 비전, 메타와 한국 기업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AI 경쟁이 본격화하고 글로벌 빅테크 중심으로 AI 반도체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며 "AI 시스템에 필수적인 메모리에서 세계 1, 2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과 긴밀히 협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하루 전인 같은달 28일에는 저커버그 CEO가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있는 삼성그룹 영빈관인 승지원을 찾아 이재용 회장과 만찬을 함께 했다. 승지원은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이 1987년 고 이병철 창업회장의 거처로 활용한 곳으로, 집무실 겸 영빈관으로 활용하고 있다. 삼성의 핵심 의사 결정이 이뤄지는 장소이다. 이재용 회장은 승지원에서 저커버그 CEO와 아내 프리실라 챈에게 저녁 식사를 대접한 것으로 전해졌다. 만찬 참석자는 이재용 회장과 저커버그 CEO 부부까지 3명이 자리했다.
이날 회동에서도 두 사람은 AI 반도체와 XR 사업 관련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점유율 2위인 만큼 메타가 개발 중인 차세대 언어모델(LLM) '라마 3' 구동에 필요한 AI 칩 생산과 관련한 협력 방안이 논의됐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직전에는 서울 여의도 트윈타워를 찾아 권봉석 ㈜LG 최고운영책임자(COO) 부회장, 조주완 CEO, 박형세 HE사업본부장(사장) 등 LG그룹 경영진과 '비빔밥 오찬'을 함께했다. 이 자리에서도 차세대 XR 디바이스 협업 방향과 AI 개발을 둘러싼 미래 협업 가능성 등이 논의됐다. 애초 재계에서는 구광모 LG그룹 회장과 만날 것이란 관측도 나왔지만 성사되지 못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양사의 차세대 XR 기기 개발과 관련된 사업 전략부터 구체적 사안에 이르기까지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조 CEO는 메타의 MR 헤드셋 '퀘스트3'와 스마트글라스 '레이밴 메타'를 직접 착용해 보는가 하면, 메타가 선보인 다양한 선행기술 시연을 관심 있게 살폈다. 조 CEO는 메타의 LLM(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AI에도 큰 관심을 보이며 온디바이스(On-Device) AI 관점에서 양사 시너지 창출 가능성도 논의했다.
LG전자는 XR 사업 추진에 있어 디바이스(제품)뿐 아니라 플랫폼과 콘텐츠 역량까지 균형 있게 갖춰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메타와의 협업도 이러한 차원에서 추진됐다.
한국거래소, 아이씨티케이(ICTK) 코스닥 상장예심 승인
[특징주] 미래에셋벤처, 하이퍼엑셀 '세계최초 엔비디아보다 빠른 삼성 4nm AI반도체칩' 개발성공…초기투자社 ↑
[특징주] 아이스크림에듀, 업스테이지 '세계최초 AI 오피스 솔루션' 개발…AI지식추적 기술공동개발社 시너지↑
[특징주] 스톤브릿지, 업스테이지 세계최초 온디바이스 AI 개발 '애플 부터 탑재'…지분보유↑
[종목이슈] 이에이트, 디지털트윈에 생성형 AI 접목 발표 후 '강세'
LG전자, 메타와 전략적 협업...저커버그 메타 설립자, LG전자 조주완 등 경영진과 만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