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손실 469억원 사상 첫 적자
연간 매출은 29조4,722억원 ‘사상 최대’ 기록
G마켓, 분기 기준 8분기만에 흑자 전환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이마트 본사 및 이마트 성수점 전경. [이마트 제공]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이마트 본사 및 이마트 성수점 전경. [이마트 제공]

이마트가 창사 이래 첫 연간 적자를 기록했다. 이마트는 연결 기준으로 지난해 영업손실 469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9조4722억원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결 기준 지난 4분기 순매출은 7조3561억원, 영업손실은 855억원이다.

영업손실의 주요 원인으로 이마트는 신세계건설의 실적 부진을 꼽았다. 신세계건설은 공사 원가 상승,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분양 실적 부진, 예상되는 미래 손실의 선반영으로 지난해에 비해 1757억원이 늘어난 187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이마트의 지난해 별도 기준 연간 총 매출액은 16조5500억원, 영업이익은 1880억원이다. 지난해 4분기 총 매출액은 4조625억원, 영업이익은 393억원이다.

G마켓은 지난해 4분기, 8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G마켓의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 작업이 효과를 거두며 매 분기 적자폭이 줄었고, 연간 영업손실은 전년 655억원에서 절반 이하인 321억원으로 줄었다.

오프라인 주요 자회사들도 엔데믹 이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스타벅스는 지속적인 신규점 출점 효과에 힘입어 지난해 대비 174억 늘어난 1398억원의 영업이익을, 신세계푸드는 단체급식사업 수요 증가와 사업 효율성 향상으로 전년 대비 58억원 늘어난 26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마트 가격파격 선언 이미지. [신세계그룹 제공]
이마트 가격파격 선언 이미지. [신세계그룹 제공]

조선호텔앤리조트는 투숙률 상승과 리테일사업 호조로 181억원 늘어난 403억원의 영업이익을, 신세계프라퍼티는 스타필드 주요 매장의 방문객 증가로 120억원 늘어난 16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한편, 이마트는 올해 연결 기준 순매출을 전년 대비 2.8% 신장한 30조3000억원, 별도 기준 총매출을 전년 대비 1.5% 신장한 16조8000억으로 전망했다.

특히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는 고물가 저성장 국면 장기화에 상품 혁신과 신규점 출점으로 실적 반등을 보이며 지난해 대비 7.3% 늘어난 3조6600억원의 총매출 계획을 세웠다.

이마트는 올해 가격 리더십과 고객 경험 극대화를 통해 본격적인 오프라인 본업 경쟁력 회복에 나선다. 이마트·이마트24·이마트에브리데이 3사 기능 통합을 통한 원가 경쟁력 확보와 물류 효율화로 주요 상품들을 상시최저가 수준으로 운영해 가격 리더십을 주도하고, 온오프 집객 선순환 시너지를 도모할 방침이다.

온라인 자회사들은 비효율을 걷어내고 수익 구조를 안정화 하며, 이를 고객 가치 실현과 고객 경험 확장에 투자할 방침이다. SSG닷컴은 물류 체계를 효율화하고 대형 PP센터 중심의 권역재편과 운영개선으로 주문률과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해 7월 론칭한 '익일 배송 서비스' 쓱1데이배송의 구색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G마켓은 오픈마켓 판매자들의 동일 상품을 가격 비교해 최저가 기준으로 개별 고객이 보유한 최대 쿠폰을 선 적용해 추천하는 '초개인화'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한다. 또한 풀필먼트 운영 개선과 인공지능(AI) 광고 서비스 강화로 수익 확대에 나선다.

이마트 관계자는 "오프라인 3사 기능 통합 시너지가 본격화 되고, 온라인 사업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어 올해 연말 사상 첫 연매출 30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