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 치료제 후보물질 브리모콜 도입...2025년 FDA 허가 목표

광동제약 사옥 전경. [광동제약 제공]
광동제약 사옥 전경. [광동제약 제공]

광동제약이 안과용제 포트폴리오 확대로 전문약 분야 경쟁력을 강화한다. 광동제약은 홍콩 제약사 자오커로부터 노안 치료제 후보물질 ‘브리모콜’을 도입했다고 29일 밝혔다.

브리모콜은 노안 증상을 완화하는 카바콜(2.75%)과 브리모니딘 주석산염(0.1%) 복합제다. 부교감신경 활성, 교감신경 억제 기전으로 동공을 수축해 ‘핀홀효과’를 일으킨다. 핀홀효과는 작은 구멍을 통해 물체를 관찰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시력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같은 작용은 수술과 달리 가역적이며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자오커는 홍콩에 본사를 둔 리스파마의 안과용제 전문 자회사로 2017년 설립됐다. 소아근시와 노안, 황반변성, 안구건조증 등 다양한 안과질환을 타깃으로 다수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광동제약은 이번 계약을 통해 브리모콜의 국내 수입·유통 등에 대한 독점 판매권을 가진다. 국내에는 경쟁 품목이 없는 미개척 시장이다. 제품화될 경우 노안의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리지널사는 미국의 바이오기업 바이서스테라퓨틱스로 올해 임상 3상을 완료하고 202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제품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최성원 광동제약 대표는 “노화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인 노안에 대해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게 돼 기쁘다”며 “양사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노안은 신체노화 과정에서 모든 사람이 예외 없이 겪는 질환이다. 보통 40대부터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구 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근거리 시야가 악화되는 증상을 유발한다. 노안교정술, 돋보기안경, 콘텍트렌즈 착용 등이 보편적 처방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