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송진우가 한일 역사 표현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직접 사과문을 올리며 입장을 밝혔다.

송진우는 26일 자신의 SNS에 긴 사과문을 게시했다. 문제가 된 발언은 유튜브 채널 ‘354 삼오사’의 ‘국제부부 남편 모임’ 영상에서 나왔다. 송진우는 자녀의 역사 교육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일제강점기를 “옛날에 한국과 일본이 둘이 싸웠어”라고 표현했고, 이는 침략과 피해가 명확한 역사적 사실을 ‘싸움’이라는 중립적 단어로 축소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이후 채널 제작진은 영상을 비공개 처리하고 사과문을 냈다.
이와 관련 송진우는 “신중하지 못한 언행으로 많은 분들께 상처와 실망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말문을 열었다. 또한 “역사를 왜곡해 아이들을 교육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면서도 “아이의 시선에 맞춰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앞서 ‘싸웠다’라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게 됐다”고 명확히 잘못을 인정했다.
그는 사과문에서 다문화 가정의 현실적 고민도 함께 언급했다. 주변에서 부모의 국적 때문에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폭력이 이어진 사례를 들었다며, 아이에게 “역사적 사실을 정확히 알고 폭력은 어떤 상황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맥락을 전달하고 싶었다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표현이 더 신중하고 정확했어야 했다”는 반성을 스스로 밝혔다.
그러나 사과의 진정성과는 별개로, 그의 발언이 드러낸 역사 인식의 공백과 다문화 가정 서사를 다루는 방식의 한계는 여전히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로 남았다.
이하 송진우 사과 전문이다.
안녕하세요. 송진우입니다.
신중하지 못한 언행으로 인해 많은 분들께 상처와 실망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이를 직접 말씀드리고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저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의 무거움을 알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입니다. 그렇기에 역사를 왜곡하여 아이들을 교육하고, 보호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는 이야기부터 드리고 싶습니다.
다문화 가정 아이들 사이에서 부모의 국적 때문에 생긴 혐오감이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 그런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 앞섰습니다. 그래서 저는 아이에게 “역사적 사실은 정확히 알고 이해되며, 어떤 상황에서도 폭력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을 주고 싶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그래서 정말 안 됐지만 아이의 시선에 맞춰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앞서 ‘싸웠다’라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제 표현이 더욱 신중하고 정확했어야 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떠한 변명도 없이 제가 잘못한 부분입니다.
앞으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더욱 조심스럽고 신중하며 사실만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iMBC연예 이호영 | 사진출처 SKY채널, 채널A
※ 이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 복제,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 콘텐츠의 저작권은 'iMBC연예'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