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하도급업체 작업자 1명 사망·3명 부상
3월에도 냉연공장 사망사고

포항제철소 2열연공장에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포스코 제공]
포항제철소 2열연공장에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포스코 제공]

경북 포항시 포스코 포항제철소 공장에서 정비 작업을 진행하던 작업자들이 유해 물질로 추정되는 가스를 흡입해 1명이 숨지고 3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유출된 가스는 불산 또는 질산으로 추정된다

5일 경북경찰청과 포스코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경 경북 포항시 남구 동촌동 포스코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 압연부 소둔산세공장에서 포스코DX의 하도급업체 소속 노동자 다수가 기기 수리 사전 작업 도중에 성분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은 가스를 마시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작업자 4명이 호흡 곤란과 흉부 통증을 호소해 자체 응급조치를 한 뒤 사설 구급차로 이송했으나 하도급업체 소속 노동자 A(54)씨가 이송 도중에 숨졌다. 30대 노동자인 나머지 3명은 몸 일부에 화상을 입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로 확인됐다.

포스코 측은 화학 물질 누출이 계속되자 11시 14분경에 소방당국에 신고했다. 이에 119특수대응단과 포항남부구조대 등 소방관 30명과 차량 11대가 출동해 공장의 한 분리된 배관에서 불산으로 추정되는 가스 누출을 확인하고 배관을 연결했다.

이 과정에 흡착포를 활용해 독성 물질을 모두 제거했으며, 낮 12시 48분경 잔류 가스가 없는 것을 확인했다고 소방당국은 설명했다. 특히 소방당국은 해당 화학 물질이 불산 또는 질산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사망자가 발생하자 병원에서 경찰에 신고하며 사고 발생을 인지했다"며 조사를 통해 유해 가스의 정확한 성분을 파악할 것이라는 방침을 전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현재 정확한 사고 경위를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사고 당시 작업 환경과 보호구 착용 여부 등 안전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하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할 방침이다. 포스코 측은 고용노동부가 사고가 발생한 해당 공장 라인에 작업 중지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는 지난 3월 21일에도 스테인리스 1냉연공장에서 작업 중이던 포스코PR테크 40대 직원 1명이 숨졌다. 

뿐만 아니라 지난 2020년 12월 9일 3소결공장에서 협력사 하청업체 직원이 집진기 보강공사를 하던 중 부식된 배관 파손으로 추락해 숨지고 2021년 2월 8일엔 원료부두에서 협력사 직원이 벨트컨베이어 아래쪽 롤러를 교체하던 중 전원이 차단되지 않은 채 이동하던 하역기와 롤러에 끼여 사망했다. 또한 지난 2022년 1월 20일에는 포항제철소 화성부 3코크스 공장에서 스팀 배관 보온재 교체작업을 하던 협력사 소속 직원이 무인 하역운반기계와 설비 사이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