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피아니스트 박종화 교수와 협업
음악을 매개로 다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 및 공감대 형성
2월까지 전국 순회하며 매달 1회씩 공연 진행

오른쪽 세 번째부터 이덕현 기아 지속가능경영실장 상무, 박종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등이 연주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기아 제공]
오른쪽 세 번째부터 이덕현 기아 지속가능경영실장 상무, 박종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등이 연주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기아 제공]

기아가 지난달 30일 서울 성수동에 있는 '기아 언플러그드 그라운드'에서 '음악으로 하나 되는 우리: 하모니움 x 런 피아노'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하모니움 x 런 피아노'는 기아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박종화 서울대 교수의 프로젝트 팀 '런 피아노'와 함께 펼치는 찾아가는 음악회다. 국경과 언어를 뛰어넘는 음악을 통해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다문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기아의 '하모니움'은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다문화 미래 세대의 성장을 지원하는 사회공헌 사업이다. 사회적 포용성을 높이기 위한 '인식 개선 캠페인'과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지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다.

'런 피아노'는 고정된 무대를 벗어나 거리, 공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공연을 개최하는 프로젝트 팀으로, 클래식 공연의 접근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동형 콘서트를 진행해왔다.

'하모니움 x 런 피아노'는 30일 첫 공연을 시작으로 오는 12월까지 매달 1회씩 전국의 새로운 장소에서 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클래식 연주와 대담으로 구성돼 관객들에게 '음악으로 잇는 우리의 다양한 하모니'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공연을 진행하는 연주자들과 이를 감상하는 관객들의 모습 [기아 제공]
공연을 진행하는 연주자들과 이를 감상하는 관객들의 모습 [기아 제공]

구체적으로 ▲안토니오 비발디의 '사계(Le quattro stagioni)' 중 '여름'과 '가을' ▲아스트로 피아졸라의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사계(Las Cuatro Estaciones Porteñas)' 중 '여름'과 '가을' 등 같은 주제이면서도 상이한 분위기를 드러내는 총 4곡이 연주됐다. 관객들은 서로 다른 곡을 비교해 감상하며 다름 속에 존재하는 같음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는 시간을 진행했다.

연주 이후에는 박종화 교수가 관객들과 직접 소통하며 다양성에 대한 생각을 자유롭게 나누고 다문화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박 교수는 해외 각지에서 활동하며 직접 경험한 다문화 관련 인식을 공유하고, 독일 출신의 결혼 이민자와 이야기를 나누며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덕현 기아 지속가능경영실장 상무는 "다문화 사회에 대해 공감하고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이번 음악회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하모니움을 통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다문화 청소년들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꾸준히 이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아는 '인류의 안전하고, 자유롭고, 지속 가능한 삶에 기여한다'는 사회공헌 미션 아래 국내외에서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펼치고 있다. 국내에서는 '초록여행', '갯벌식생복원', '가축분뇨 친환경처리' 등을, 해외에서는 '그린라이트 프로젝트(Green Light Project)', '오션클린업(The Ocean Cleanup)' 등을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