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으로 생산지 확대 …전통 품종(후지) 점유율↓
신품종(시나노골드ㆍ아리수) 거래량 증가 추세

농협중앙회가 '사과 주산지와 품종 변화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농협중앙회 제공]
농협중앙회가 '사과 주산지와 품종 변화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농협중앙회 제공]

농협중앙회는 농협빅데이터플랫폼(N-Hub)의 최근 8년(2016년~2023년)간의 농협 출하량과 도매시장 거래량을 분석해 '사과 주산지와 품종 변화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2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사과 생산량은 자연재해와 병해충으로 매년 증감을 반복하나, 재배면적은 소폭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표 농협중앙회 디지털전략부장은 "농협이 보유하고 있는 작물 생산 관련 데이터를 활용해 다양한 작물들의 주산지, 품종 등 재배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과 최대 주산지인 경북지역은 생산량, 재배면적, 재배농가수 모두 50%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재배농가수는 감소추세에 있다. 반면에 강원지역은 생산량, 재배면적, 재배농가수 모두 증가추세다. 특히, 지난해 재배면적은 지난 2010년 대비 약 7배 증가해 향후 사과 재배 적지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농협 출하량은 경북 영주ㆍ청송ㆍ안동ㆍ봉화, 경남 거창 등 상위 5개 지역이 전체출하량의 48%를 차지했으며, 경북 영주ㆍ청송의 출하량이 크게 증가했다. 도매시장 거래량에서는 강원 홍천ㆍ정선ㆍ양구ㆍ횡성ㆍ철원 지역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로 분석해 보면 후지, 미얀마, 홍로, 아오리, 미시마 등 5개 품종이 농협 출하량과 도매시장 거래량의 92% 이상을 차지했다. 전통적인 대표 품종인 후지 점유율이 감소하고, 후지의 개량 품종인 미얀마의 거래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어 시나노골드, 아리수 등 신품종은 거래량이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보고서에서는 기후 변화에 대응해 사과 재배농가에 품종이나 작물 전환 지도ㆍ지원이 필요하며, 농가 수익 향상을 위해 신품종을 지역 특화 품종ㆍ브랜드로 개발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