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서 간담회 진행
CEO 선출 공정성 강화, 책무구조도 도입 등 논의 전망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자료 이미지. [금융감독원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자료 이미지. [금융감독원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오는 28일 8개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과의 간담회에서 지배구조 개선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노력을 당부할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금융권에 따르면 이 원장은 오는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KBㆍ신한ㆍ하나ㆍ우리ㆍNH 등 5대 금융지주와 BNKㆍDGBㆍJB 등 지방금융지주 이사회 의장과 간담회를 연다. 이 원장은 지난해부터 금융지주ㆍ은행 이사회와의 연 1회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여하는 금융지주사는 모두 책무구조도를 시범 운영 중이기 때문에 책무구조도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책무구조도는 최고경영자(CEO) 등 금융사 임원에게 직책별 내부통제와 위험관리 책무를 배분해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를 명확하게 하도록 한 규율 체계다. 이 원장은 내년 1월 본격적인 제도 시행을 앞두고 철저한 준비를 부탁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CEO 선출 공정성 강화 등 지배구조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다룰 것으로 전해졌다. 오는 연말 금융지주 CEO 임기가 대거 만료되면서 후임 선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금융 당국은 지난해 12월 은행지주 이사회 의장 간담회에서 현직 CEO 임기 만료 최소 3개월 전부터 새 CEO 선임 절차를 시작하는 내용 등을 담은 '은행지주·은행 지배 구조에 관한 모범 관행'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원장은 당시 "지주 이사회는 지주 그룹의 경영전략과 리스크 관리 정책을 결정하는 어떤 기구보다 중요한 곳"이라며 "장기적인 시야에서 금융회사가 나아가야 할 경영전략과 방향을 제시하는 책무를 가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올해 연말 은행권에선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등 5대 은행장의 임기가 종료된다. 은행별로 각종 금융사고가 빈번히 발생했던 만큼 연임 여부가 신중히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