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기준금리 인하 개시...”베이비컷 vs 빅컷“ 놓고 저울질
추석 연휴 3일간 휴장 마친 뒤 오는 19일 국내증시 흐름 '주목'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Fed 홈페이지]](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09/213078_216674_1026.jpg)
추석 기간 국내 증권시장이 휴장하는 가운데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기준금리 발언에 따라 오는 19일 주가가 어느 방향으로 쏠릴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주에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기준금리 인하 개시가 기정 사실화될 전망이다. 다만 지난달 경제 지표가 일부 혼조세를 보이면서 25bp(베이비컷)와 50bp(빅컷)을 놓고 초박빙으로 견해가 엇갈리는 상황이다.
지난 8월 비농업 고용은 전월 대비 14만2000명 증가해 컨센서스(16만명)에 못 미쳤으며 6∼7월 고용 증가 폭은 대폭 하향 조정돼 우려를 키웠으나 실업률은 4.2%로 기대에 부합했다.
또 8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19% 상승해 컨센서스(시장 예상치)인 0.2%에는 부합했으나 지난 6월 저점 이후 반등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6개월 이동 평균 물가 상승률은 1.98%로 둔화세가 지속되나 3개월 이동 평균 물가 상승률은 1.15%로 전월(0.42%) 대비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에너지 부문은 전월대비 0.78% 하락하면서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상품 가격이 0.17% 떨어졌다. 또 중고차 가격이 0.96%로 3개월 연속으로 하락하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상품 가격이 0.17% 내렸다.
반면 시장의 우려가 높았던 핵심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28% 상승하면서 컨센서스(0.2%)를 상회했다. 특히 주거 부문이 핵심 소비자물가 상승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거 부문은 전월 대비 0.52% 올라 지난 1월(0.63%)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주거를 제외한 서비스부문 물가는 0.24%로 집계돼 지난 5월(-0.05%) 이후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지난달부터 미국의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는 높아졌지만 반등하고 있는 주거 제외 서비스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아직 가계의 소비 여력은 충분히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영향으로 증권가는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 반영된 이달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기대하는 빅 컷 가능성을 오는 12월까지는 열어놔도 된다는 견해가 주목된다. 이달 추가 인하 경로나 물가 발표로 오는 11월 빅 컷을 포함해 12월에도 빅 컷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핵심 소비자물가의 둔화로 연준이 오는 11~12월 2차례 빅 컷을 연달아 단행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가 하락하고 있는 점은 헤드라인 물가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다. 에너지 이외에 다른 품목 소비 여력을 높이면서 핵심 물가 둔화세를 더디게 만들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윌리엄 더들리 전 뉴욕 연은 총재는 "연준의 주장처럼 인플레이션과 고용 상황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면 연준이 중립 금리 수준으로 더 빨리 기준금리를 내리고 싶어 할 것"이라면서 "논리적으로 보면 더 빠른 금리 인하가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다만 빅 컷 인하에 따른 시장 불안을 우려하는 목소리고 존재한다. 시작부터 50bp를 내릴 경우 금리 인하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경기 둔화가 나타날 수도 있어서다.
이처럼 미국 금리인하 폭을 놓고 금투업계에서는 갑론을박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FOMC에서 나올 발언에 투자자들이 촉각을 세우는 분위기다. 연준이 시장 전망치보다 더 낮은 금리 인하폭을 예고할 경우 국내 주식시장에도 불안감이 조성되는 등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징주] 금양그린파워, 美 신재생 에너지 정책수혜…태양광·풍력 발전 4분기 매출 본격화 기대↑
[특징주] 그린리소스, 美 하원 '더 강력해진 中 배터리 배제법안' 통과…'배터리 원료 안티몬 공급사' 수혜주 ↑
"코스닥 상장 절차 '착착'"…LS이링크, 국내외 NDR 성황리 마무리
스튜디오산타클로스, 25억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조달 성공
[특징주] 아이빔테크놀로지, 암 수술후 '무서운 잔존 암세포' 분석 현미경 연구자 임상종료…'상용화 초읽기' 소식에 ↑
[종목이슈] 'MBK 공개매수'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고조에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