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최고 실적 기록한 은행, 급여도 '두둑'
희망 퇴직 땐 최고 8억~10억씩
5대 금융지주는 평균 8500만원

자료 사진 [뉴스1 제공] 
자료 사진 [뉴스1 제공] 

올해 상반기 주요 시중은행 직원들이 평균 6000만원 이상의 급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주요 대기업과 비교해도 더 높은 수준이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개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에 따르면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직원 1인당 평균 급여는 605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월평균 약 1000만원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같은 국내 유수 대기업의 평균 급여를 웃도는 수준이다.

은행별로 보면 하나은행의 상반기 평균 급여는 67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지난해 임단협 결과에 따라 지급된 특별 성과급과 격려금이 포함된 수치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6000만원으로 동일했고, 신한은행은 5500만원으로 4대 은행 중 가장 낮았다. 신한은행은 성과급을 지난해 말에 미리 지급해 올해 상반기 급여에 포함되지 않은 것이 이유로 분석된다.

성별로보면 남성 직원의 평균 급여는 6950만원으로, 여성 직원(5325만원)보다 약 30% 더 많았다. 이는 남성과 여성 간 급여 격차가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4대 시중은행의 평균 급여 수준은 국내 주요 대기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의 1인당 평균 급여는 5400만원, 현대자동차는 4200만원이었다.

금융지주사 직원 급여는 은행보다 더 높았다. KB금융, 신한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NH농협금융 등 5대 금융지주의 올해 상반기 직원 1인당 평균 급여는 8500만원에 달했다.

이는 금융지주사의 특성상 임원 비중이 높고, 직원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평균 급여가 더 높게 산출된 것으로 보인다. 남성 직원의 평균 급여는 9240만원으로 여성 직원(6140만원)보다 50% 이상 많았다.

특히 우리금융지주은 1인당 평균 급여가 9700만원으로 5대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어 하나금융이 9400만원, 신한금융이 8600만원, KB금융이 8000만원을 기록했다.

농협금융은 6800만원으로 금융지주사 중 가장 낮았지만, 시중은행 중 가장 높은 급여를 받은 하나은행보다는 100만원 높았다.

한편, 주요 시중은행과 금융지주사에서 근속 연수가 긴 일부 직원들은 퇴직 시 은행장보다 더 높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은 관리자 직위에서 퇴직한 5명이 각 10억원 이상의 보수를 수령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퇴직 소득으로만 9억원 이상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이승열 하나은행장의 상반기 보수(9억 100만원)를 초과하는 금액이다.

우리은행에서도 부장 대우급 희망 퇴직자들이 8억 3000만원에서 8억 7000만원의 보수를 수령해 조병규 우리은행장의 보수(6억 5600만원)를 웃돌았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