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강점을 활용해 기존 증권사 서비스와 차별화된 새 고객경험 선사

(왼쪽부터) 김승연 토스증권 대표이사와 김상태 신한투자증권 대표이사가 업무협약식을 마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제공]
(왼쪽부터) 김승연 토스증권 대표이사와 김상태 신한투자증권 대표이사가 업무협약식을 마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제공]

신한투자증권(대표이사 김상태)은 지난달 27일 신한투자증권 본사에서 토스증권(대표이사 김승연)과 클라우드기술 기반 오픈 플랫폼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토스증권은 모바일 시대를 맞아 앞선 기술을 보유해 직관적 사용자 경험을 강점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체 직원의 60%가 개발 조직일 정도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체 기술력으로 데이터를 직접 보유하고 처리하는 증권사다. 

해외자산 시세를 제공하는 토스증권은 1초에 1250만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로 확인되는데 아시아 전역에서 유일한 기술력이다.

신한투자증권은 강력한 내부통제를 토대로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통해 한국 금융권에서 처음 종합증권사의 핵심 원장을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차세대 시스템 ‘프로젝트 메타’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프로젝트 메타의 토대 위에 기술과 비즈니스를 결합해 금융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가 자유롭게 만나는 ‘오픈 플랫폼’을 준비한다는 것이 회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오픈 플랫폼의 프라임 파트너로 트래블월렛, 웨이커에 이어 3번째로 토스증권과 손을 잡았다. 이번 MOU는 양사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 로드맵을 설계해 단계별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특히 신한투자증권은 양사에서 보유한 기술의 강점을 활용해 글로벌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각종 사내외 서비스 확장 솔루션을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토스증권과 함께 기존 증권사에서 미처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한다.

토스증권 김승연 대표는 “신한투자증권은 전통 금융사의 틀에서 벗어나 프로젝트 메타와 오픈 플랫폼을 적극 추진하는 ‘기술에 진심인’ 증권사”라며 “양사가 뭉쳐 국내 금융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토스증권의 강점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한투자증권과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태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고객 니즈에 따라 다양한 재테크 방식과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며 “토스증권은 클라우드 등 신기술 활용 및 지속적인 고객 분석으로 다양한 고객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지속 활용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했다는 점에서 오픈 플랫폼의 프라임 파트너사로 함께하게 됐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