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 서울의 대표 랜드마크 전망
일자리 창출, 경제활력 제고 등 국가경제 기여 기대
생산유발 효과 265조원
![사진은 이날 서울 강남구 삼성동 현대차 신사옥 건립 부지 모습. [뉴스1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fee/202403/202739_203423_5817.jpg)
대한민국과 서울을 상징하는 대형 랜드마크이자 미래사업 테스트베드로 서울 삼성동 부지에 조성하고 있는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는 일자리 창출, 경제활력 제고 등 국가경제 활성화에 지속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7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최근 GBC 설계 변경안을 서울시에 제출했으며, 현재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인허가 절차가 속도를 내면 투자와 고용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초 50층대 타워 2개동과 문화·편의시설을 위한 저층 4개동 등 총 6개동의 GBC 설계 변경 제안서를 서울시에 제출했다. 105층 타워와 문화∙편의시설용 저층 건물 등 총 5개동으로 구성되었던 과거 설계안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초고층 타워를 50층대 건물 2개동으로 분산 배치했다.
설계 변경은 대내외 경영환경 변화와 현대차그룹의 미래 전략 등을 반영해 실용성·효율성·지속가능성이 보장된 새로운 공간 계획의 필요에 따른 것이다. 국군 작전 제한사항 등 국가 안보와 화재∙재난 등 안전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도시 안전 측면도 고려됐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파이낸셜포스트 DB]](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03/202739_203426_423.jpg)
현대차그룹은 초고층 타워를 50층대 건물들로 분산배치하면서 감축한 투자비를 ▲세계 최고 수준의 건축가와 협업을 통한 미래 랜드마크 디자인 개발 ▲탄소저감 친환경 신기술 대거 적용 ▲UAM(도심항공 모빌리티)∙PBV∙로보틱스 등 첨단 모빌리티 기술 접목 등에 집중 투입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GBC는 내∙외부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친환경적 통합 디자인을 기반으로 현대차그룹 미래 사업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하면서 탄소 배출은 저감하는 세계적 수준의 미래 친환경 콤플렉스로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 규모가 유지됨에 따라 GBC는 건설기간은 물론 완공 이후에도 대규모 경제 파급효과로 우리 경제에 활력소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행정학회는 GBC 프로젝트에 대해 ▲생산유발 효과 265조원 ▲고용유발 효과 122만명 ▲세수증가 1조5000억원 등의 경제 효과를 추산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인허가 기간을 감안해 서울시가 내년 하반기 중 설계 변경안의 인허가 절차를 완료하면 건설 본격화로 GBC 프로젝트에서만 2026년까지 약 4조6000억원 투자와 9200명의 신규 고용이 이뤄진다. 2030년까지는 총 19조5000억원 투자, 누적 기준 5만6000명가량의 고용이 창출된다.
![현대차 울산 EV전용공장 조감도. [현대차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03/202739_203427_452.jpg)
GBC는 완공 이후에도 유수의 인재가 집결하는 서울 국제교류복합지구의 핵심 공간이자 세계 최고 수준의 전시, 판매, 호텔, 그리고 공연장 등이 복합된 글로벌 랜드마크로써 고용창출 효과는 물론, 대규모 관광객을 유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GBC 프로젝트가 속도를 내면 GBC 인근 상권 활성화, 강남의 중심축을 바꿔 놓을 대역사로 평가받는 ‘서울 국제교류복합지구 사업’의 원활한 수행 등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GBC 설계안이 기존 안의 틀을 유지하면서 건물 높이, 디자인 등 건축 위주의 변경인 만큼, 인허가 절차가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건설업계의 한 전문가는 “GBC 부지는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 변경과 공공기여 규모 합의 등이 이미 이뤄졌고 용적률, 건폐율, 용도 등 주요 도시계획 사항도 결정된 상태”라면서 “설계 변경안이 도시계획 사항을 준수하고 있다면 인허가 절차 간소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중 공공기여는 현대차그룹과 서울시가 1조7000억원대로 결정했지만 물가 인상분은 현대차그룹이 부담하기로 이미 합의돼 있어 전체 공공기여 규모는 2조10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